![[출처=유진투자증권]](https://cdn.ebn.co.kr/news/photo/202501/1647751_659869_3019.jpg)
연초부터 한미 양국의 금리 방향성이 엇갈리고 있다. 미국 국채 10년물 금리가 4.6%까지 상승한 반면, 한국 금리는 연말 대비 10.1bp 하락한 2.754%를 기록했다.
6일 유진투자증권에 따르면 미국 금리는 최근 ISM 제조업지수 호조와 국제유가 상승, 연초 입찰 부담 등으로 4.6% 선에 근접했다. 특히 ISM 제조업지수가 예상치를 상회하면서 금리는 빠르게 상승했다.
한 월가 애널리스트는 "제조업 수요가 유지되는 가운데 고용시장 위축 속도가 완만하다는 점에서 미국 경기 호조를 재확인하는 수준"이라고 분석했다.
최근 미국 금리 상승은 매파적인 12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결과, 재정정책에 대한 우려, 경기 호조 등 복합적 요인이 작용한 결과로 보인다. 실질 단기금리와 기간 프리미엄이 모두 상승하면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1기 시절과 유사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현재 미국 금리는 1월 동결과 연간 1.5회 인하를 반영한 수준이다. 전문가들은 4.5~4.6%를 중심으로 한 박스권 움직임을 예상하고 있으며, 주간 발표될 미국 비농업고용지표와 미 재무부의 자금조달계획(QRA)을 주요 변곡점으로 보고 있다.
반면 한국의 장기금리는 연초 급락세를 보였다. 이는 연말 추가경정예산(추경) 기대감의 되돌림 현상으로 해석된다. 12월 계엄사태 이후 급부상한 조기 추경 가능성으로 상승했던 금리가 기획재정부와 최상목 권한대행의 보수적 견해로 반락한 결과다.
그러나 일부 전문가들은 이러한 금리 반응이 과도했다고 평가한다. 한 채권 애널리스트는 "추경은 이미 기정사실과 다름없다"며 "정치권에서의 추경 언급은 계엄령 이전부터 계속돼 왔다"고 설명했다.
정부의 최근 경제정책방향에 따르면, 올해 성장률을 1.8%로 예상하고 있으며, 이는 잠재성장률을 하회하고 한국은행 등 주요 전망기관의 전망치보다 낮은 수준이다. 정부는 민생 관련 예산의 상반기 70% 집행과 18조원 규모의 공공재원을 활용한 경기 보강 계획을 발표했다.
또한 정부는 경제 여건을 1분기 중 재점검하고 필요 시 추가 대책을 강구하겠다고 밝혔는데, 이는 추경에 대한 열린 시각을 제시한 것으로 해석된다.
전문가들은 추경이 시기의 문제일 뿐 대규모일 가능성과 일회성이 아닐 가능성까지 염두에 두어야 한다고 조언한다. 정치적 요소와 소비 둔화의 빠른 방어를 위해 조기 추경 가능성은 여전히 존재한다는 것이 중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