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공=GC녹십자]
[제공=GC녹십자]

고중성지방혈증 치료제 페노피브레이트가 말기 신장질환의 위험을 크게 낮출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GC녹십자는 최근 내분비 분야의 권위 있는 학술지 'Diabetes, Obesity and Metabolism'에 이 연구 결과가 게재됐다고 6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강북삼성병원 내분비내과 박철영 교수가 주도했으며 2010년부터 2017년까지의 데이터를 분석했다.

연구진은 고중성지방혈증으로 스타틴 계열 약물을 복용한 환자 중 페노피브레이트를 처방받은 146만명 이상의 데이터를 분석했다. 이들은 페노피브레이트 복용군과 비복용군 각각 41만3715명으로 나눠 비교했다.

분석 결과 페노피브레이트 복용군에서 말기 신장질환 발생률이 24%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혈압, 단백뇨, 중등증 신장질환 환자에서 이 약물의 신장 보호 효과가 두드러졌다. 고혈압 또는 단백뇨가 있는 환자의 경우 말기 신장질환 위험이 27% 감소했으며 중등증 신장질환 환자의 경우 그 위험이 50%나 줄어들었다.

연구진은 페노피브레이트가 혈중 중성지방을 낮추고 HDL 콜레스테롤 수치를 높이는 효과와 함께 항염증 작용을 통해 신장을 보호하는 것으로 해석했다.

이번 연구는 기존에 알려진 페노피브레이트의 심혈관 질환 예방 효과에 더해 만성 신장질환 진행 억제 효과를 추가로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GC녹십자 관계자는 "동양인은 유전적 요인이나 전통적인 탄수화물 식이로 인해 서양인보다 중성지방 수치가 상대적으로 높다"며 "고중성지방혈증의 적극적 관리와 복용 편의성을 위해 식이 영향이 없는 네오페노정을 출시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