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공=대한상의]
[제공=대한상의]

대내외 불확실성 증대로 원/달러 환율이 급등, 국내 기업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9일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50대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주요 대기업의 환율 영향 조사' 결과에 따르면 2025년 사업계획 수립 때 현재 수준인 1450∼1500원 범위로 환율을 적용한 기업은 11.1%에 불과했다.

1350∼1400원 범위가 33.3%로 가장 많았으며 1300∼1350원 범위가 29.6%로 뒤를 이었다. 주요 대기업 10곳 중 6곳은 올해 사업계획에 1300원대 환율을 적용한 셈이다.

각 기업은 사업계획 수립 시 적용한 환율과 실제 환율의 차이가 발생함에 따라 충격을 줄이기 위한 대책 마련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원/달러 환율은 작년 12월 초 비상계엄 사태로 1430원대까지 오른 뒤, 18일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2025년 금리인하 횟수를 조정하겠다고 발표하며 1450원대를 돌파했다. 이후 27일 대통령 권한대행 탄핵 표결 직후 1470원을 넘겼다가 현재 1450원대에 머무르고 있다.

국내 대기업에 환율 상승으로 인한 어려움을 5점 척도로 조사한 결과, 가장 큰 어려움으로는 '원자재 및 부품 조달 비용 증가'(3.70점)가 꼽혔다. 이어 '해외투자 비용 증가'(3.30점), '수입 결제 시 환차손 발생'(3.15점), '외화차입금 상환 부담 증가'(2.93점) 순을 보였다.

상의는 "전통적으로 환율 상승은 수출 주도형인 우리 경제에 유리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최근엔 해외 현지생산 비중이 증가하고 환헤지(환 변동 위험 회피) 달러화 결제가 늘어나면서 효과가 제한적"이라고 지적했다.

올해 상반기 환율 수준에 대한 전망으로는 응답 기업의 44.4%가 '1,450원 이상 1,500원 미만'이라고 답해 현재의 환율 수준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현재 수준보다 소폭 상승한 '1,500원 이상 1,550원 미만'을 전망한 기업은 18.5%였다.

기업들은 환율 불안을 키우는 잠재적 요소(복수응답 질문)로 '국내 정치적 불안정 지속'(85.2%)과 '트럼프 정부의 무역 정책 본격 개시'(74.1%)를 가장 많이 지목했다.

아울러 불안정한 환율 상승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 과제(복수응답 질문)로는 기업에 대한 외환 유동성 지원 확대'(63.0%)와 '긴급시 외환시장 안정조치 시행'(63.0%)을 많이 꼽았다.

강석구 상의 조사본부장은 "불안정한 환율 상승이 자본 유출, 신인도 하락 등 '눈덩이 효과'처럼 확대되지 않도록 외환시장 안정화와 기업 유동성 지원 확대에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며 "우리 경제의 과감한 체질 개선과 구조적 전환 노력도 병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