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럭시S25 시리즈 모델별 메인 색상 컨셉 이미지. [제공=삼성전자]
갤럭시S25 시리즈 모델별 메인 색상 컨셉 이미지. [제공=삼성전자]

삼성전자의 갤럭시S25 시리즈가 베일을 벗은 가운데 전작과 같은 흥행 성공을 이어갈지 관심이 쏠린다.

업계 안팎에서는 갤S25의 성공을 가를 핵심 키워드로 '인공지능(AI)' 고도화와 '가격'을 주효하게 보고 있다.

삼성전자는 지난 22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州) 새너제이 SAP센터에서 신제품 공개 행사(갤럭시 언팩)를 열고 주력 스마트폰 신제품 '갤S25 시리즈'를 공개했다. 

갤S25는 AI 비서가 스마트폰 시스템 전반을 통제할 수 있게 된 게 특징이다. 번역하고, 메모를 요약하고, 이미지 정보를 찾아주는 것처럼 특정 업무를 개별적으로 수행하던 데에서 한발 더 나아가 더 복잡한 명령도 이행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삼성전자는 갤S25를 "진정한 AI 동반자"로 소개했다. 스마트폰 속 AI 비서가 진짜 사람 비서에 더 가까워졌다는 의미를 담은 것으로 풀이된다.

노태문 MX사업부장(사장)은 "갤S25 시리즈는 역대 가장 쉽고 직관적인 AI 경험을 제공하는 스마트폰"이라며 "사용자의 일상 자체를 혁신할 것"이라고 말했다.

갤S25 시리즈의 3개 모델(S25·S25 플러스·S25 울트라)은 전작인 갤S24 보다 온디바이스 AI로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이 많아졌다. 새로운 AI 영상 편집 기능 '오디오 지우개'가 대표적이다. 오디오 지우개는 영상 속 목소리, 주변 소리, 소음, 바람 소리 등을 AI가 분류해 주는 기능이다. 이용자는 분류된 소리 중 일부를 선택해 아예 없애거나 음량을 조절할 수 있다. 

필요시엔 인터넷을 연결해 작업을 수행한다. 새롭게 생긴 기능 '나우 브리프'는 이용자의 스마트폰 사용 패턴과 데이터를 분석해 이용자가 원할 만한 정보를 알려준다. 매일 아침 뉴스를 보는 사용자라면 자주 방문하는 뉴스 페이지의 주요 뉴스와 함께 오늘 날씨, 주요 일정, 수면 점수 등을 함께 띄워 보여주는 식이다.

갤럭시S25 제품 이미지. [제공=EBN]
갤럭시S25 제품 이미지. [제공=EBN]

이외에도 AI는 갤S25 시스템 전반의 사용성에 변화를 가져다 줬다. 사진첩에 쌓인 사진 중 특정 사진을 찾을 땐 스크롤을 움직이는 대신, 말로 주문하면 된다.

이번 시리즈에는 전량 퀄컴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AP)이 탑재된다. 이에 한층 진화된 AI와 최강 성능을 구현했음에도, 전 모델을 전작과 동일한 가격으로 책정한 것도 성공 요소로 꼽힌다.

더 많은 고객이 새로운 갤S25 시리즈를 경험할 수 있도록 구매 부담을 낮추고 '갤럭시 AI' 대중화에 힘쓰고자 하기 위함이다. 가격 부담을 낮춰 판매량을 늘리겠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사전 판매는 지난 24일부터 들어갔으며 한국 출시일은 내달 7일이다.

이에 시장에서는 갤S25가 과거 갤럭시 시리즈의 아성을 되찾을 수 있을지 주목하고 있다. AI 에이전트폰 시장 선점으로 9년 만에 시리즈 최대 판매량을 기록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는 중이다.

최근 KB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S25의 연간 판매량이 3700만대 수준을 기록할 것이라 전망한 바 있다. 

지난해 초 출시한 S24는 최초의 온디바이스 AI 스마트폰을 내걸며 다시 3000만대 수준을 넘어선 것으로 알려진다. 만일 S25 시리즈가 전작에 이어 흥행에 성공할 경우 샤오미를 중심으로 하는 중국 스마트폰의 프리미엄 시장 추격에서 다소 달아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