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공=픽사베이]](https://cdn.ebn.co.kr/news/photo/202501/1649803_662195_850.jpg)
국내 항공사가 친환경 대체 연료인 지속가능항공유(SAF) 혼합 연료 사용을 확대한다. 오는 2027년 국제선 SAF 혼합유 의무화를 앞두고 선제적 대응으로 평가된다.
30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대한항공을 비롯한 7개 국내 항공사가 국제선에서 주 1회 국산 SAF를 급유한 항공기의 정기 운항을 개시했다.
SAF는 바이오매스와 포집된 탄소를 기반으로 제조되어 기존 항공유 대비 탄소 배출량을 최대 80%까지 줄일 수 있는 친환경 연료다.
대한항공은 지난해 8월 말부터 인천-도쿄 하네다 노선에 SAF 1% 혼합 연료를 공급하고 있다. 아시아나항공, 티웨이항공, 진에어, 이스타항공, 제주항공, 에어프레미아도 각각 일본 노선에서 SAF 혼합유 사용을 시작했다.
이스타항공은 지난해 12월 SAF 급유를 시작하면서 “친환경 경영을 실천하는 중요한 첫걸음을 뗐다”며 “추후 대상 노선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유럽 노선에 취항하는 국내 항공사들은 유럽연합(EU)의 규정에 따라 이미 최소 2%의 SAF를 혼합해 사용하고 있다. 이는 정부 주도의 SAF 급유 상용 운항 정책과는 별개로 진행되고 있다.
정부는 국제민간항공기구(ICAO)의 ‘국제항공 탄소 상쇄·감축제도(CORSIA)’ 의무화에 대비해 2027년부터 국내 출발 모든 국제선 항공편의 SAF 1% 혼합 급유 의무화를 추진하고 있다. 올해 상반기 중 '중장기 SAF 혼합의무 로드맵' 발표도 예정돼 있다.
국토교통부는 지난해 국적 항공사 운송량 기준으로 SAF 1% 혼합 급유가 의무화될 경우, 연간 약 16만톤의 탄소배출 감축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이는 승용차 5만3000대가 1년간 배출하는 탄소량과 맞먹는 수준이다.
항공사는 SAF 사용을 확대해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실천에 동참한다는 방침이다.
하지만 일반 항공유보다 SAF가 가격이 비싼점을 강조하며 장기적으로 항공사의 부담으로 작용될 것이라는 우려도 제기된다.
항공업계 한 관계자는 “SAF 도입과 적용 노선 확대에 항공사의 부담은 증가하고 있다”며 “정부가 항공사에게 SAF 인센티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