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강서구 공사현장, 기사와 무관.[출처=EBN]](https://cdn.ebn.co.kr/news/photo/202502/1650182_662585_1228.png)
지난해 시공능력 상위 20위 건설사의 공사 현장에서 발생한 사고로 다치거나 숨진 인원이 전년보다 25%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2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박용갑 의원이 국토교통부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시공능력 상위 20위 건설사들의 건설 현장에서 발생한 사고로 인한 사상자는 총 1868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정부의 건설공사 종합정보망(CSI)에 등록된 사망자, 3일 이상 휴업이 필요한 부상자, 1000만원 이상 재산 피해 사고를 포함한 수치다.
사상자 수는 전년(2259명)보다 17.3% 감소했지만, 2년 전인 2022년(1666명)과 비교하면 12.1% 증가했다.
특히 사망자는 35명으로, 전년(25명)보다 25.0% 증가했다.
부상자는 1833명으로, 전년(2231명)대비 17.8% 감소했다.
사망자가 가장 많이 발생한 건설사는 대우건설로, 7명이 숨졌다.
이어 GS건설과 포스코이앤씨(각 5명), 현대건설(3명)이 뒤를 이었다.
사망 사고가 없었던 건설사는 삼성물산, 호반건설, DL건설, 중흥토건 등 4곳이었다.
2022년부터 지난해까지 3년간 상위 20위 건설사들의 공사 현장에서 발생한 사망자는 총 96명, 부상자는 5697명으로 집계됐다.
박용갑 의원은 "중대재해처벌법 시행 이후 건설 현장 사상자 수는 전혀 줄고 있지 않다"면서 "시행 3년이 지난 지금 처벌이 아닌 예방 위주로의 법 개정 논의와 정부의 철저한 관리 감독 및 점검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 [오늘(2일) 날씨] 경상권·제주도 비…낮 최고 5∼12도 포근
- LH, 고양창릉서 올해 3기신도시 첫 번째 본청약 시작
- 광주 동구, 자연마을 8개소 도시계획시설 재정비 착수
- 대출 규제 영향에 전국 아파트 전세가율 상승세 지속
- 트럼프, 캐나다·멕시코·중국에 대규모 관세 부과… 글로벌 무역전쟁 본격화
- GS건설, 지난해 영업익 2862억 '흑전'…수주 20조 '역대 최대'
- 기저효과에 가려진 'GS건설 허윤홍式 원가혁신'
- '우려 속 선방' 대우건설, 주택·플랜트서 빛난 4Q 막판 뒷심
- '23명 사망 아리셀 화재' 박순관 대표, 보석 석방
- 작년 산업재해 사망자 589명, 전년比 9명↓…건설업 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