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향후 10년간 식량용 쌀 소비량이 약 15% 감소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3일 '농업전망 2025' 보고서를 통해 식량용 쌀 소비량이 올해 273만톤으로 줄어들 것이라고 내다봤다. 보고서는 내년 269만톤, 2030 253만톤, 2035년 233만톤 등으로 매년 감소할 것으로 추산했다.
10년 뒤인 2035년 식량용 쌀 소비량 전망치는 올해 소비량 예상치보다 14.7% 적다.
식량용 쌀 소비 감소는 식생활 변화가 원인이다. 지난 2014∼2023년 소비량은 서구화한 식문화와 대체 식품 소비 증가 등에 따라 연평균 1.6% 감소했다.
지난해에도 쌀 소비는 감소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국민 1인당 평균 식량용 쌀 소비량은 55.8㎏였다. 관련 조사가 시작된 1962년 이래 가장 적었으며, 30년 전인 1994년 소비량(120.5㎏)의 절반 수준이다.
농경연은 아침 식사를 거르는 식습관도 쌀 소비 감소 원인 중 하나로 꼽았다.
농경연은 "식품 소비 행태 조사 결과 1주 중 아침 결식 횟수는 2021년 1.44회에서 작년 1.79회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즉석밥과 도시락, 떡 등에 들어가는 가공용 쌀 소비는 점차 늘어 올해 77만톤에서 2035년 94만톤으로 22.1% 증가할 것으로 예측됐다.
다만, 가공용 쌀 소비량은 식량용 쌀 소비량의 3분의 1 수준인 만큼, 전체 쌀 소비 감소세를 방어하기는 어렵다는 평가다.
농경연은 식량용과 가공용 쌀 소비량을 합친 전체 쌀 소비량은 올해 350만톤에서 2035년 327만톤으로 6.6% 줄어든다고 내다봤다.
정부는 쌀 소비가 감소하는 상황에서 공급 과잉을 막겠다는 방침이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올해 지방자치단체와 협력해 벼 재배면적을 8만㏊를 줄이겠다는 방향을 제시했다. 또한, 국회와 양곡관리법 개정안의 대안을 마련해 논의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