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현대자동차]
[출처=현대자동차]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2기 행정부 출범으로 급격한 통상 변화가 이뤄지고 있다. 정부를 중심으로 산·학·연의 대응책 마련도 분주하다. 

6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정부는 자동차 산업과 관련해 대미 투자 확대를 지원하고 아세안 시장으로의 투자 및 수출 다변화를 통해 불확실성에 대비한다는 방침이다.

전문가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하고 시나리오별 대응책을 마련할 계획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1일 행정명령을 통해 캐나다, 멕시코에 각 25%, 중국에는 10%의 관세를 4일부터 부과키로 결정했지만 한달 간의 유예기간을 뒀다. 

트럼프 대통령이 경쟁국인 중국은 물론 동맹인 캐나다와 멕시코에까지 무차별적으로 관세를 부과하는 것에서 한발 물러서면서 글로벌 통상 전쟁도 일단은 한숨을 돌린 상태다. 그러나 이번 조치가 한시적인 만큼 위기감은 계속 고조될 전망이다.

멕시코의 경우 기아와 현대차그룹 부품 계열사 현대모비스와 현대트랜시스 등이 공장을 운영 중인 만큼 미국의 관세 부과에 민감할 수 밖에 엇는 상황이다.

멕시코산 제품 관세 부과나 보편관세 도입 시 대미 의존도가 높은 국내 기업이 직접적인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현대자동차그룹은 미국 앨라바마·조지아 공장을 포함한 200억 달러 규모 투자로 현지 생산 비중을 늘리고,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생산 능력을 강화하는 등 리스크 분산 전략을 실행 중이다.  

자동차협회는 인니·태국·베트남 등 아세안 국가들과 민관 네트워킹 활동을 강화하며 기업들의 시장 진출 지원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정부 또한 유럽·독일·일본 등의 자동차협회와 협력을 통해 보호무역주의 확산에 대한 공동 대응 기반을 마련한다는 구상이다.

정부는 이러한 다각적 노력을 통해 미 신정부 출범 이후 예상되는 통상 환경 변화를 적극적으로 관리하며 국내 산업 경쟁력을 유지하는 데 주력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