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셀트리온]](https://cdn.ebn.co.kr/news/photo/202502/1652312_664941_355.jpg)
셀트리온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의약품 관세 정책에 대한 대응 전략을 수립했다. 이는 미국 정부의 잠재적인 관세 부과에 대비한 선제적 조치다.
19일 셀트리온은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의약품 관세 부과 가능성과 관련해 최적의 대응 체계를 구축했다"며 "올해 관세 영향 최소화를 위한 선조치를 완료했다"고 발표했다.
구체적인 대응 방안을 보면 셀트리온은 올해 미국 시장 판매 예정 제품에 대해 약 9개월분의 재고를 이미 확보했다. 이를 통해 "의약품 관세 부과 여부와 상관없이 올해 미국 내 판매분에 대해서는 그 영향을 최소화했다"고 셀트리온 측은 설명했다.
셀트리온은 미국 현지 위탁생산(CMO) 업체를 통한 완제의약품 생산을 지속해왔으며 이들 제조소와의 협의를 통해 추가 생산 가능 물량을 확보했다.
이러한 대응책은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달 취임 연설에서 언급한 외국 생산 의약품에 대한 관세 부과 가능성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상호 관세 정책을 결정하면서 의약품 관세에 대한 시장의 관심이 고조된 바 있다.
셀트리온은 추가적인 대응 전략으로 "관세 부과 시 완제의약품보다 세 부담이 훨씬 낮은 원료의약품 수출에 집중하고 있다"며 "의약품 관세 부과 여부 추이에 따라 필요시 현지 완제의약품 생산을 지금보다 더 확대하는 전략으로 상황 변화에 대응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셀트리온은 "미국 현지 원료의약품 생산시설 확보도 올해 상반기 중 투자 결정을 마무리할 것"이라고 예고했다. 이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미국 시장에 대한 안정적인 공급망을 구축하려는 노력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