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SMC의 대미 투자 발표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출처=연합뉴스]
TSMC의 대미 투자 발표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출처=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세계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업체 대만 TSMC가 향후 4년 동안 미국 내 반도체 공장에 1000억달러(약 146조원)를 투자할 것이라고 밝혔다.

인공지능(AI)의 발전 등으로 글로벌 반도체 패권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이번 투자로 미국 내 반도체 공급망 구축이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은 3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AI 칩이 바로 여기 미국에서 만들어질 것"이라며 "반도체 없이는 AI부터 자동차, 첨단 제조에 이르기까지 모든 것을 구동하는 경제도 없다"며 이 같이 말했다.

앞서 월스트리트저널(WSJ)은 공식 발표 전 소식통들을 인용해 이러한 내용이 담긴 소식을 보도한 바 있다.  

이번 투자 발표는 웨이저자 TSMC 회장과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이 참석한 가운데 이뤄졌다. 

이번 투자로 TSMC는 기존에 애리조나에 투자하기로 한 650억달러를 포함해 대미 투자 규모가 총 1650억달러로 대폭 늘어난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투자로 애리조나에 TSMC 반도체 공장 5개가 새로 설립될 것이라고 밝혔다. 웨이저자 회장은 미국 내에 수천개의 새로운 일자리가 생길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TSMC는 지난 2020년 애리조나에 120억달러를 투자해 반도체 공장을 짓겠다고 밝혔다. 이후 공장 2개를 추가해 총 3개를 건설하고 투자 규모도 650억달러로 확대키로 했다. TSMC의 애리조나 첫 공장은 지난해부터 양산에 들어갔다.

이번 대규모 투자로 미국은 자국 내 반도체 공급망 구축에 더욱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반도체 패권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미국은 반도체를 국가 안보 차원에서 보고 있다.

조 바이든 전 대통령 때부터 반도체지원법(CSA) 등을 통해 반도체 생산 설비 구축에 주력해왔다. TSMC도 바이든 전 행정부 시절 CSA를 바탕으로 대미 투자와 관련해 66억달러의 보조금을 지원받기로 했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은 반도체지원법에 비판적인 입장이다. 그는 보조금 대신에 관세 부과를 통해 미국 내 공장 설립을 유도해야 한다고 주장해왔다. 

미국에 수입되는 모든 반도체에 대규모 관세를 물리면 반도체 업체들이 결국 미국에 공장을 짓지 않고 배길 수 없을 것이라는 복안이다. 

실제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반도체에 25%나 그 이상의 관세를 물리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달 그는 "이 나라에서 반도체가 만들어지도록 해야 한다. 그들이 미국에 들어와 공장을 세우면 관세가 없다"며 "반도체·자동차 기업들이 앞으로 수주 안으로 대미 투자와 관련한 발표를 하게 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