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대한상공회의소]](https://cdn.ebn.co.kr/news/photo/202503/1653946_666761_2942.jpg)
대한상공회의소는 5일 ‘소비활성화를 위한 유통업계 성공전략’을 주제로 제39차 대한상의 유통위원회를 개최하고 내수회복을 위한 유통업계의 역할과 대응전략을 논의했다.
이날 회의에는 정준호 대한상의 유통위원장과 박일준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을 비롯해 박진선 샘표식품㈜ 대표, 이제훈 유한킴벌리㈜ 대표, 이종호 알파(주) 등 주요 기업 대표 40여명이 참석했다.
이날 강연을 맡은 김병규 연세대 교수는 “불황기에는 브랜드의 충성고객층을 확보하는 것이 핵심”이라며 ‘팬 브랜드(Fan Brand)’ 전략을 강조했다. 김 교수는 “모든 소비자를 겨냥하는 마케팅보다는 특정 집단의 열렬한 지지를 얻는 것이 중요하다”며 “1% 고객의 마음을 얻으면 99%의 고객의 마음을 얻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김 교수는“애플, 테슬라, 스타벅스 같은 성공한 브랜드들은 소수의 핵심 고객층을 겨냥한 마케팅 전략을 펼쳤다”면서 “이 브랜드들은 사회적으로 선망받는 특정집단이 주로 사용하는 브랜드라는 인식이 만들어진 뒤 대중에게 빠르게 확산됐다는 공통점이 있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딜로이트 조사(2024년 7월)에 따르면 미국과 비교해 한국소비자들은 한 달간 정체성 구매에 8만원, 미국 소비자는 6만원을 써 한국 소비자들이 브랜드를 통해 정체성을 인식하려는 구매가 더 두드러졌다는 조사결과가 있다”면서 ‘정체성 소비(Identity Consumption)’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불황기에도 소비자들은 특정 브랜드의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단순한 기능적 이유뿐만 아니라 브랜드의 전체적인 이미지와 자신을 동일시하려는 욕구가 있다”고 분석했다.
김 교수는 “이런 점에서 뷰티, 패션, 럭셔리, 피트니스 등 소비자가 자신의 스타일과 능력을 과시할 수 있는 브랜드(상품)가 더욱 부각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준호 유통위원장은 “유통업계가 빠르게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 지속적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소비 흐름을 정확히 읽고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오늘 논의된 다양한 전략들이 업계의 실질적인 대응 방향을 모색하는 데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장근무 대한상의 유통물류진흥원장은 “고금리와 물가 상승으로 소비가 위축되는 상황에서 한국 기업들은 장기적인 브랜드 가치 구축에는 다소 미흡한 점이 있다”며 “단기적인 마케팅 중심에서 장기적인 브랜딩 중심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라고 강조했다.
- 편의점의 초저가 승부수…PB로 ‘커피플레이션’ 정면돌파
- 가구업계의 역발상…프리미엄 앞세워 고물가·고환율 돌파
- 얇아진 지갑에…고물가 속 ‘편의점 소액 상품권’ 불티
- 백화점까지 뛰어든 ‘반찬 구독 서비스’…고물가시대 新생존전략 부상
- 홈플러스 노사, 임금 협약 잠정 합의…평균 1.2% 인상
- 대한상의 "탄소중립·AI시대 맞는 에너지시스템 재설계 필요"
- 대한상의 '여성기업위원회' 출범…초대 위원장에 정기옥 LSC푸드 회장
- 이재명 만난 한경협 "기업투자 활성화·기업가 정신 재점화 지원해달라"
- 2월 외식물가 3% 상승…재룟값·배달 수수료 부담 커져
- 박진선 샘표식품 대표, 식품산업협회장 취임…첫 민선 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