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전국에서 입주 물량이 가장 많이 줄어든 지역은 경기도로 나타났다. 특히 용인시가 도내에서 가장 큰 감소폭을 기록했다. 공급이 줄어든 만큼 신축 아파트에 대한 희소성이 더욱 커질 전망이다.
부동산R114 자료에 따르면, 올해 경기도 내 입주 예정 물량은 6만 8,347가구로, 전년(11만 4,588가구) 대비 약 40.4%(4만 6,241가구) 감소했다. 이는 전국에서 가장 큰 감소폭이다. 같은 기간 인천은 23.9%(2만 9,740가구→2만 2,638가구) 줄었고, 서울은 오히려 34.5%(2만 8,074가구→3만 7,747가구)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에서도 대구(-48.5%), 경북(-47.6%), 충남(-41%) 등의 지역에서 입주 물량이 크게 감소했으나, 절대적인 감소 가구 수로는 경기도가 가장 많았다.
경기도 내에서 입주 물량 감소가 가장 두드러진 곳은 용인시다. 올해 용인시의 입주 예정 가구 수는 3,575가구로, 전년(1만 1,725가구) 대비 8,150가구나 줄어들었다. 그 뒤를 이어 △양주시(-7,871가구) △화성시(-5,475가구) △광주시(-5,207가구) 순으로 감소폭이 컸다.
입주 물량뿐만 아니라 분양 예정 물량도 줄어들고 있다. 부동산R114에 따르면, 올해 경기도의 민간 분양 예정 물량(임대 제외)은 7만 1,154가구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8만 3,494가구) 대비 1만 2,340가구 줄어든 수준이다.
업계에서는 수도권 인구 유입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공급이 줄어들 경우, 신축 아파트에 대한 선점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보고 있다. 한 부동산 관계자는 “수도권으로 인구가 몰리고 있지만 공급이 감소하면서 중장기적으로 주택 공급 부족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며 “분양가와 매매가 상승 가능성을 고려해 내 집 마련을 원하는 실수요자들은 적극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입주 물량이 감소하는 가운데, 경기도와 인천에서는 신규 분양이 예정돼 있다.
우선 현대건설은 오는 4월 용인시 처인구 남사읍 아곡리에서 ‘힐스테이트 용인마크밸리’를 분양할 예정이다. 이 단지는 용인 남사(아곡)지구 7BL에 위치하며, 지하 2층~지상 27층, 7개 동, 총 660가구 규모로 조성된다. 삼성전자가 360조 원을 투자하는 ‘첨단 시스템반도체 국가산업단지(예정)’와 가까운 입지로 주목받고 있다.
양주시에서는 제일건설㈜이 ‘양주역 제일풍경채 위너스카이’를 분양한다. 이 단지는 지하 3층~지상 40층, 4개 동, 총 702세대로 구성되며, 남향 위주의 단지 배치와 넓은 동간 거리로 쾌적한 주거환경을 조성할 예정이다.
김포시 풍무지구에서도 신규 분양이 진행된다. 롯데건설은 오는 3월 ‘풍무역 롯데캐슬 시그니처’를 선보일 계획이다. 이 단지는 김포골드라인 풍무역과 가까우며, 총 720가구 규모로 조성된다.
인천에서도 신규 공급이 예정돼 있다. 효성중공업과 진흥기업은 4월 부평구 산곡1동에 ‘해링턴 스퀘어 산곡역’을 분양할 예정이다. 이 단지는 지하 3층~지상 45층, 14개 동, 총 2,475가구로 구성되며, 이 중 1,248가구가 일반 분양된다. 특히 지하철 7호선 산곡역 초역세권 입지로 실수요자들의 관심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전문가들은 “입주 물량 감소로 인해 공급 희소성이 커지는 만큼, 수도권 내 신규 분양 단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질 것”이라며 “분양 시점을 놓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