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썸플레이스는 오는 26일부터 대표 제품인 스트로베리 초콜릿 생크림(스초생) 등 케이크와 커피, 음료 등 58종 가격을 평균 4.9% 인상한다. [출처=연합뉴스]](https://cdn.ebn.co.kr/news/photo/202503/1656216_669421_589.jpg)
투썸플레이스가 오는 26일부터 대표 제품인 스트로베리 초콜릿 생크림(스초생) 등 케이크와 커피, 음료 등 58종 가격을 평균 4.9% 올린다고 24일 밝혔다.
인상 품목은 케이크 13종과 아메리카노 등 커피 23종, 음료 22종이다.
케이크 가격은 평균 2000원 오르고, 조각 케이크는 평균 400원 인상된다. 대표 제품인 스초생은 2000원 오른 3만9000원에 판매된다.
레귤러 사이즈 커피 제품 23종의 가격은 200원씩 오르며 샷, 시럽 등 옵션 가격은 각각 300원 인상된다. 디카페인 변경 옵션 가격은 200원 오른다.
레귤러 사이즈 아메리카노는 200원 오른 4700원이 된다.
투썸플레이스의 아메리카노 가격 인상은 지난 2022년 1월 이후 약 3년 만이다. 스초생 가격도 같은 해 10월 인상된 이후 처음 조정된다.
투썸플레이스 관계자는 “수년간 지속된 환율 상승과 세계적 기상 변화로 원두와 코코아, 유제품 등 주요 원재료 가격이 폭등한 상황에서 여러 비용 증가가 더 이상 감당하기 어려운 수준”이라며 “가맹점 비용 부담을 고려해 가맹점과 협의를 거쳐 가격을 조정했다”고 말했다.
최근 브라질과 베트남 등에서 폭우, 가뭄 등 이상 기후로 커피 생산량이 줄면서 원두 가격이 급등했다. 이러한 이유로 커피 전문점들은 잇달아 가격 인상에 나서고 있다.
스타벅스코리아는 올 1월 24일부터 톨 사이즈 음료 22종 가격을 200~300원 올렸다. 폴바셋과 할리스, 파스쿠찌 등도 줄줄이 가격을 인상했다.
저가 커피 브랜드도 예외가 아니다.
더벤티는 이달부터 아이스 아메리카노(벤티) 가격을 1800원에서 2000원으로 11.1% 인상했다. 컴포즈커피 역시 지난달 아이스 아메리카노 가격을 300원 올렸다.
네스프레소는 이달 캡슐 커피 가격을 개당 최대 81원 인상했고, 매일유업은 다음 달부터 컵 커피 등 제품 가격을 평균 8.9% 올릴 예정이다.
- 먹거리 인플레 ‘비상’…내달 라면·맥주·유제품價도 오른다
- ‘말발’ 안 먹히는 정부…“물가안정 협조” 요청에도 식품價 줄인상
- 라면에 햄·만두·커피·소시지까지…먹거리 가격 줄인상
- 투썸플레이스, 신규 프라페 2종 론칭…여름 음료 시장 선제 대응
- 치킨값 릴레이 인상 신호탄?…지코바치킨, 7일부터 전 메뉴 2500원 ↑
- 투썸플레이스, ‘2025 바리스타 챔피언십’ 결선 성료
- 투썸플레이스 작년 영업이익 327억원…역대 최대치 기록
- 매일유업 폴 바셋, 칼로리 낮춘 요거트 음료 3종 출시
- 네스프레소, 신규 ‘재활용 백’ 공개…지속가능성 강화
- 컴포즈커피, ‘산리오캐릭터즈’ 협업 굿즈 6일 만에 10만개 판매 돌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