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비맥주는 다음 달 1일부터 카스를 비롯한 주요 맥주 제품의 공장 출고가격을 평균 2.9% 인상한다. 단, 마트에서 가장 많이 팔리는 카스 500㎖ 캔 제품은 가격을 그대로 유지한다.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 카스, 한맥 등 맥주 번들이 진열된 모습. [출처=연합뉴스]
오비맥주는 다음 달 1일부터 카스를 비롯한 주요 맥주 제품의 공장 출고가격을 평균 2.9% 인상한다. 단, 마트에서 가장 많이 팔리는 카스 500㎖ 캔 제품은 가격을 그대로 유지한다.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 카스, 한맥 등 맥주 번들이 진열된 모습. [출처=연합뉴스]

최근 국내 주요 식품사들이 원재룟값 상승과 고환율 압박에 못 이겨 잇따라 제품 가격을 인상하면서 소비자들의 부담이 커지고 있다. 라면, 맥주, 유제품 등 생활 밀접 품목이 중심이어서 서민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적지 않을 전망이다.

24일 식품업계에 따르면, 오뚜기는 다음 달 1일부터 라면류의 가격을 인상한다. 지난 2022년 10월 라면 가격을 올린 이후 2년 5개월 만이다.

오뚜기는 총 27개의 라면 유형 중 16개 유형의 라면 제품 출고가를 평균 7.5% 인상한다. 오뚜기의 대표 라면인 진라면 봉지면은 716원에서 790원으로 10.3%, 용기면은 1100원에서 1200원으로 9.1% 조정된다.

앞서 농심은 지난 17일부터 신라면·새우깡 등 17개 브랜드의 출고가를 평균 7.2% 인상한 바 있다. 이번 가격 인상은 2022년 9월 이후 2년 6개월 만이다.

지난해 한 차례 가격을 내렸던 신라면과 새우깡은 이번 인상을 통해 기존 가격 수준으로 복귀하게 됐다.

‘국민 라면’으로 꼽히는 신라면의 소매점 가격은 950원에서 1000원으로 5.3% 올랐다. 뒤이어 너구리는 4.4%, 안성탕면은 5.4%, 짜파게티는 8.3%, 쫄병스낵 8.5%씩 각각 인상됐다.

비빔면 시장 부동의 1위를 수성 중인 팔도 역시 라면류 가격 인상을 내부적으로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해외 매출 비중이 80%에 달하는 삼양식품은 당분간 가격 인상 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수출 중심의 사업 포트폴리오 덕분에 원자재 가격이 상승하더라도 환율 효과 등으로 가격 조정에 비교적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라면뿐만 아니라 맥주도 가격 인상 대열에 합류한다.

국내 맥주 시장 점유율 1위인 오비맥주는 오는 4월 1일부터 카스 500㎖ 캔 제품을 제외한 국산 맥주 제품의 공장 출고가를 평균 2.9% 인상한다.

국산 맥주에 더해 수입 맥주도 가격이 조정됐다. 롯데아사히맥주는 일본 맥주 아사히 가격을 이달부터 8~20% 인상했다. 아사히 수퍼드라이 캔맥주 350㎖는 3500원에서 4000원으로 14.3% 올랐으며, 500㎖는 4500원에서 4900원으로 8.9% 뛰었다.

유업계도 가격 인상 행렬에 동참한다.

매일유업은 내달부터 제품 51종 가격을 평균 8.9% 올린다. 이에 따라 커피음료 중 바리스타 룰스(250㎖) 가격은 3.6%, 허쉬드링크 초콜릿(190㎖)은 11.8% 인상된다.

스트링치즈 플레인과 매일두유 검은콩(190㎖)은 각각 7.4%, 10.5% 오른다.

이러한 식품업체들의 제품 가격 인상에는 수입 원자재 가격 상승과 환율 상승으로 인한 원가 부담 증가가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라면과 음료 등에 공통으로 사용되는 밀·팜유·설탕 등 주요 국제 원재룟값이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 중인 가운데 물류비와 인건비까지 높아져 가격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게 업계 측 설명이다.

이 같은 흐름은 소비자 물가에도 영향을 미쳤다. 통계청이 발표한 2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6.0으로 전년 동기 대비 2.0% 상승했다. 그 중에서도 외식 물가가 3.0%, 가공식품 물가가 2.9% 오르며 체감 물가 상승을 견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기업들이 릴레이 인상에 돌입하면서 경쟁업체들도 줄줄이 대열에 합류할 것으로 점쳐진다. 이에 소비자 부담도 나날이 커질 조짐이다.

일상생활과 밀접한 품목의 가격 인상으로 소비자 부담이 증가함에 따라 정부의 적극적인 물가 안정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식품업계 관계자는 “(식품업체들이) 탄핵정국으로 시국이 어수선한 틈을 노려 가격 인상에 적극 나서는 것으로 보인다”며 “식료품 가격의 급격한 인상이 소비자 물가에 미치는 영향이 지대한 만큼 정부는 물가 연동 지원 등 하루빨리 정책대응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