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과 경북 지역을 휩쓴 대형 산불이 열흘 만에 주불 진화에 성공했다. 그러나 이번 산불로 인한 인명 및 재산 피해는 역대 최대 규모로 기록될 전망이다.

고기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본부장(행정안전부 장관 직무대행)은 30일 경북도 재난안전상황실에서 열린 중대본 회의에서 "지난 21일부터 경남과 경북도 지역을 중심으로 발생한 대형산불은 총력 대응 끝에 경북 지역은 28일, 경남 지역은 오늘 오후 1시께 주불을 완전히 진화했다"고 공식 발표했다. 

이어 그는 "이번 산불은 인명과 재산 피해 모두 역대 최대 규모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중대본에 따르면 이번 산불로 사망자 30명을 포함해 총 75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산불이 휩쓴 산림 면적은 약 4만8000㏊에 달하며, 주택 3000여 동이 전소됐다. 또한 국가유산 30건과 농업시설 2000여 건 등 다양한 시설 피해도 확인됐다.

고 본부장은 "피해 현장은 예상보다 훨씬 참담하며, 삶의 터전을 잃은 이재민들의 상실감과 고통은 이루 말할 수 없다"고 전했다.

정부는 경북·경남 중앙합동지원센터를 중심으로 이재민 구호 활동을 본격화하고 있다. 의료, 세금, 통신 등 각 기관별 지원 사항을 포함한 '산불 종합안내서'를 마련해 7곳의 현장지원반을 통해 주민들의 민원을 신속히 해결하고 있다.

이재민들의 주거 안정을 위해 임시 조립주택 입주 희망 수요 조사를 실시하고 있으며, 이주 단지 조성 등 장기적인 해결책도 마련할 계획이다. 또한 의료급여 지급, 건강보험료 경감, 통신비 감면 등 민생 지원과 함께 농기계 및 종자·육묘 지원을 통해 피해 농업인들의 영농 재개를 도울 예정이다.

피해가 확인된 이재민들에게는 지자체를 통해 긴급생활 안정지원금을 신속히 지급하고, 심리 및 의료 지원도 병행하고 있다.

산불 발생 이후 지난 29일까지 약 1만여 명의 자원봉사자가 피해 수습과 이재민 지원에 참여했다. 전국재해구호협회를 통해 약 550억원의 성금이 모금됐으며, 이는 피해 복구와 이재민 지원에 사용될 예정이다.

고 본부장은 "이번과 같은 대형 산불은 언제든 다시 발생할 수 있으므로 예방과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며 산불 위험 지역의 수시 현장 점검과 진화 인력·장비의 선제적 배치를 약속했다. 또한 드론 등 첨단 장비를 활용한 산불 감시 강화와 지역 주민과 함께하는 자율 순찰을 통해 산불 예방에 총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정부와 지자체는 이번 산불을 계기로 산불 대응 체계를 전면 재검토하고, 보다 효과적인 예방 및 대응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산불 발생 원인 분석, 진화 전략 개선, 주민 대피 계획 수립 등 종합적인 대책이 추진될 예정이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키워드
#산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