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이화공영 홈페이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https://cdn.ebn.co.kr/news/photo/202504/1657854_671324_249.png)
한때 MB(이명박) 테마주로 주목받았던 이화공영이 결국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를 신청했다. 자체 개발사업 없이 도급공사에 전적으로 의존해 온 사업 구조가 한계에 봉착했고, 건설 원가 상승과 공사비 정산 문제까지 겹치면서 경영난이 가속화됐다는 분석이다.
3일 업계에 따르면 이화공영은 지난 1일 서울회생법원에 회생절차 개시 및 재산 보전처분을 신청했다. 1956년 설립된 이화공영은 지난해 시공능력평가 134위를 기록한 중견 건설사다.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의 설비 건설, 대학교 신축 공사, 아파트 리모델링 등으로 사업을 다각화하며 꾸준히 성장해왔으며, 최근에도 229억 원 규모의 경기도 안양 연성대학교 신축공사를 비롯해 다수의 프로젝트를 수주하며 활발한 영업 활동을 이어왔다.
그러나 불과 얼마 전까지 적극적으로 수주 활동을 벌이던 이화공영이 갑작스럽게 법정관리를 신청하자, 시장에서는 예상치 못한 결정이라는 반응이 나오고 있다.
업계에서는 자체 사업 없이 도급공사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이화공영의 사업 방식이 결국 발목을 잡았다고 보고 있다.
도급 사업은 발주처로부터 공사비를 받아 시공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비교적 리스크는 낮지만, 수익성이 낮아 업황 악화 시 타격이 크다. 특히 수주 경쟁이 치열한 건설 업계 특성상 최저가 낙찰이 많고, 발주처가 책정한 공사비 내에서 모든 비용을 감당해야 하는 구조적인 한계가 있다.
여기에 건설 원자재 가격과 인건비 급등으로 원가 부담이 가중되면서 공사비를 온전히 정산받기도 어려운 상황이 됐다. 수익이 남기는 건커녕 못받는 돈만 늘어난 셈이다.
실제로 지난해 기준 이화공영의 전체 공사수익(993억원) 중 미청구공사금과 공사미수금은 각각 170억원과 20억원으로 190억원에 이른다. 유입되는 돈이 줄자 이화공영의 총차입금은 231억원으로 늘어난 반면 현금 및 현금성 자산은 5390만원에 불과했다.
현금 흐름 악화는 경영난으로 이어졌다. 지난해 이화공영의 매출액은 전년 대비 27.2% 감소한 1100억원에 그쳤고, 영업손실은 414억원으로 전년(11억원 손실) 대비 3663% 급증했다. 이를 만회하기 위해 지난해 12월 7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단행했지만, 악화된 유동성 문제를 해결하기에는 역부족이었다.
결국 올해 4월 1일, 이화공영은 서울회생법원에 기업회생절차 개시 및 재산 보전처분 등을 신청했다. 그리고 이튿날 법원으로부터 재산보전처분명령과 포괄적 금지명령 결정을 받았다.
동시에 2024년도 재무제표와 관련해 ‘계속기업 존속 능력 불확실성’을 이유로 한국거래소로부터 감사 의견이 거절됐다. 이는 상장폐지 사유에 해당한다. 코스닥 시장본부는 이화공영의 공시 직후 관련 안내를 내고, 오는 23일까지 이의 신청이 없을 경우 상장폐지 절차를 진행하겠다고 밝혔다.
이화공영의 법정관리 신청은 올해 들어 중견 건설사로서는 벌써 일곱 번째 사례다. 신동아건설(시공능력평가 58위), 삼부토건(71위), 대저건설(103위), 안강건설(138위), 대우조선해양건설(83위), 벽산엔지니어링(180위) 등도 최근 법원에 기업회생을 신청했다.
특히 4월은 건설업계에 ‘위기의 달’이 될 가능성이 크다. 12월 결산법인의 감사보고서가 공개되는 시점이기 때문이다. 업계에서는 부채비율 400% 이상인 기업들이 위험군으로 분류되며, 현재 동원산업개발, 대방산업개발, 한양산업개발, 이수건설 등이 법정관리 가능성이 높은 기업으로 지목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대부분의 중견 건설사들은 그야말로 버티고 있는 상황”이라며 “정부의 금융 지원과 유동성 공급이 시급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