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챗 GPT ]](https://cdn.ebn.co.kr/news/photo/202504/1658699_672329_2431.png)
우크라이나 전후 복구 수혜 기대에 들썩였던 중소 건설사들이 속속 상장폐지 위기에 몰리고 있다. 대표적인 우크라이나 재건주 삼부토건은 외부감사인으로부터 감사의견 ‘거절’을 받아 2년 연속 비적정 감사의견을 받았고, 범양건영은 자본잠식 상태로 적정 감사의견을 받지 못했다.
두 회사는 모두 한국거래소의 관리종목 또는 실질심사 대상에 올라 상장적격성 심사를 앞두고 있다. 글로벌 지정학적 이슈에 편승한 테마주의 민낯이 드러나며 실체 없는 기대감에 베팅한 개인 투자자들의 피해가 현실화되는 모습이다.
대표적인 '우크라 재건주'로 불렸던 삼부토건은 최근 외부감사인 삼일회계법인으로부터 2024사업연도 재무제표에 대한 감사의견 ‘의견거절’을 받았다. 감사인은 “회사의 계속기업으로서의 존속 가능성에 중대한 의문이 있으며, 이를 해소하기 위한 경영진의 계획이 충분하지 않다”고 판단했다.
이에 따라 한국거래소는 지난 4일 삼부토건을 관리종목으로 지정했고, 주식 매매거래도 정지됐다. 삼부토건의 거래정지는 지난 2월 회생절차 개시 신청에 이은 두 번째다. 특히 이 회사는 작년에도 감사의견 ‘한정’을 받았던 만큼, 2년 연속 비적정 의견으로 개선기간 없이 곧바로 상장적격성 심사에 돌입할 가능성이 높다.
삼부토건이 주식시장에서 지속가능기업으로 인정받지 못한 데는 악화일로의 재무상태 때문이다. 삼부토건의 지난해 연결 기준 매출은 4624억원, 영업손실 1125억원, 순손실 1277원으로 집계됐다. 부채비율은 무려 3817%에 달하고, 1년 내 갚아야 할 돈은 보유한 현금을 훨씬 웃돌았다. 실적 부진과 자금 경색이 겹친 결과다.
범양건영도 사정은 다르지 않다. 이 회사는 최근 외부감사인으로부터 ‘감사범위 제한으로 인한 의견거절’을 받았고, 내부회계관리제도에 대해서도 ‘비적정’ 판정을 받았다. 투자자 신뢰를 흔드는 이중 악재다.
거래소는 범양건영에 대해 상장적격성 실질심사 사유가 발생했다고 공시하고, 심사 여부 결정을 위한 예비심사 절차에 착수했다. 향후 실질심사 대상으로 최종 확정될 경우, 삼부토건과 마찬가지로 상장폐지 심사 절차가 진행된다.
한국거래소는 범양건영에 대해 상장적격성 실질심사 사유가 발생했다고 공시하고, 예비심사 절차에 착수했다. 심사 대상으로 확정될 경우 상장폐지 심사 절차에 들어가게 된다.
범양건영의 재무 상황도 만만치 않다. 2024년 연결 기준 매출은 1013억원, 영업손실 382억원, 순손실 463억 원을 기록하며 3년 연속 적자를 냈다. 누적 결손금은 460억원, 자본총계는 188억원으로 줄어 납입자본금(275억원)에도 못 미치는 자본잠식 상태다. 지난해 30억 원 규모의 유상증자도 역부족이었다.
범양건영은 상장 유지를 위해 거래소에 이의제기와 함께 개선계획을 제출한 상태다. 보유 부동산 매각 등을 통해 유동성 확보 및 부채비율 개선에 나서겠다는 입장이다.
삼부토건과 범양건영은 지난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속에서 재건 테마주로 분류되며 주가가 급등했다. 특히 삼부토건은 폴란드에서 열린 ‘우크라이나 재건 회의’ 참석 소식이 알려지자 시장의 ‘수혜 기대주’로 떠올랐다. 하지만 이후 뚜렷한 수혜 실현은 없었다. 실적과 수주 실적이 부재한 상태에서 테마 기대감만으로 주가가 단기간 급등한 뒤, 실적 부진과 재무 리스크가 불거지며 주가는 급락했다.
삼부토건의 주가는 지난해 초 2000원대에서 6월 한때 7000원대까지 치솟았지만, 거래정지 직전 300원 대를 횡보했다. 범양건영도 3000원 후반까지 올랐다가, 거래정지 직전 1000원대 초반으로 주저앉았다.
일각에선 이 같은 주가 급등락을 두고 공시 내용과 실제 실적 간 괴리를 문제 삼으며, 금융당국의 조사를 촉구하고 있다. 삼부토건은 우크라이나 포럼 참가 사실을 강조한 직후 일부 경영진이 보유 지분을 매각한 정황이 포착되면서 ‘이벤트성 공시를 통한 시세조종’ 의혹까지 제기된 상황이다.
시장 관계자들은 이번 사태를 통해 기대감만으로 투자하는 테마주는 반드시 기업의 펀더멘털을 점검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우크라이나 재건사업은 국제 공적개발자금(ODA)이 투입되는 장기 프로젝트로, 대형 건설사 중심으로 움직일 가능성이 크다”며 “중소 건설사들이 수혜를 얻으려면 실적과 재무 건전성 확보가 우선”이라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