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사진 왼쪽 두 번째)이 2일 카이스트 대전 본원에서 열린 ‘미래 세대와의 AI 토크콘서트’에서 발언하고 있다. [출처=대한상의]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사진 왼쪽 두 번째)이 2일 카이스트 대전 본원에서 열린 ‘미래 세대와의 AI 토크콘서트’에서 발언하고 있다. [출처=대한상의]

최태원 SK그룹 회장 겸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이 중국이 인공지능(AI)과 제조업 전반에서 한국을 앞서가고 있다며 강한 위기감을 드러냈다.

최 회장은 2일 대전 한국과학기술원(KAIST) KI빌딩 서남표 퓨전홀에서 열린 '미래세대와의 AI 토크콘서트'에서 이 같은 견해를 밝혔다.

그는 "지금 중국은 AI도, 제조업도 우리를 앞서는 형태로 가고 있다"며 "제조의 스케일도 크고 AI, 로봇에 대한 인풋도 엄청나고, 엔지니어도 훨씬 더 많다"고 말했다.

이번 행사는 카이스트 출신의 AI 분야 창업자들, 청년 연구자들과 산업계와 학계의 리더들이 모여 AI 기술에 대한 의견을 나누는 차원에서 열렸다. 최 회장은 이 자리에서 중국의 기술 굴기를 두고 강한 위기감을 표한 것이다. 실제 중국은 AI, 로봇, 반도체 등 첨단 전략 산업에서 한국을 이미 뛰어넘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최 회장은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풀링(모으는 것)"이라며 "모든 기업이 제조 데이터를 모으고 모든 솔루션을 한꺼번에 적용해 시스템을 제대로 만들어서 제조의 경쟁력을 급격히 올리지 않으면 우리가 경쟁에서 뒤처지는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트럼프 행정부의 압박이 이어지는 상황에서도, 근본적인 경쟁력이 없으면 생존이 어려울 것이라는 판단이다.

그러면서 "설사 지금처럼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를 올리고 생산 공장을 한국이 아니라 다른 데 옮긴다고 해도 백그라운드 기술이 없으면 솔직히 다른 나라에 나가는 것도 할 수가 없다"며 근원적인 경쟁력부터 키워야 한다고 말했다.

최 회장은 "그 나라에 가도 어쨌든 AI와 제조업이 결부되니까, 경쟁자들은 어떤 형태로든 자신 있는 사람이 들어올 것이고, 그런 경쟁력 없이 다른 데로 생산기지를 옮기는 것은 장기적인 전략이 아니다"고 설명했다.

현재 갖고 있는 가장 큰 고민으로는 'AI 데이터센터'를 들었다. 최 회장은 "AI가 과연 인간의 애플리케이션을 제대로 만들어서 그게 사람들이 돈을 지불할 만큼 효용성을 가질 수 있겠냐"며 "지금 이게 제일 큰 하나의 질문"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 타이밍이 언제쯤 오느냐, 거기에 따라 AI가 계속 순환적으로 돌 수 있느냐, 결국 돈을 벌어야 애플리케이션을 만들고, 많은 기업들도 AI 데이터센터나 컴퓨팅파워를 늘리고 있는데 과연 이게 웨이스트(낭비)냐 아니냐, 이게 가장 큰 고민 중 하나"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