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가 샌드박스' 좌담회 나선 최태원 회장 [출처=대한상의]
'메가 샌드박스' 좌담회 나선 최태원 회장 [출처=대한상의]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이 저출생·지역소멸 등 국가적 난제를 풀 해법으로 '메가 샌드박스' 구상을 제시했다. 광역 단위 지역별로 미래 전략 산업을 선정해 파격적인 규제 완화와 인프라·인센티브를 집중 지원함으로써, 선진국 수준의 사업 환경을 갖춘 '미래 성장 거점'으로 탈바꿈시키자는 제안이다.

13일 대한상의에 따르면 최 회장은 최근 마강래 중앙대 도시계획부동산학과 교수, 손보미 스타씨드 대표, 이제형 스트라티오코리아 대표와 한 좌담회에서 "선진국과 비교해도 절대 뒤지지 않는 사업 여건을 지역에 만들면 대한민국의 미래 성장 거점으로 전환할 수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저출생, 지역 소멸, 교육 등 다양한 문제들이 '고르디우스의 매듭'처럼 얽혀 있어 동시에 풀기 위한 새로운 접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최 회장은 현재 한국이 AI(인공지능) 혁명 등 내외부적 도전에 직면해 있으며, 오픈AI 같은 혁신 기업 탄생과 성장이 내부적으로 부족하다고 진단했다. 이에 대한 해법으로 제시된 '메가 샌드박스'는 기존 규제 혁신 중심의 샌드박스를 넘어, 특정 광역 지역(대구·경북, 강원권, 충청권 등)에 맞춤형 미래 산업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핵심이다.

최 회장은 "기존 특구는 주로 제조 기반이었고 기업이 진정 원하는 환경을 갖추지 못했다"며 "메가 샌드박스는 특정 산업에 맞는 환경을 기반으로 일자리, 교육, 주거 문제를 한꺼번에 해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설명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 최 회장은 지역 인재 육성 및 유치, AI 산업 기반 조성, 파격적인 규제 완화, 수요자 중심의 인센티브 지원을 제안했다.

최 회장은 "지역 스스로 국내외 글로벌 기업의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수준의 인센티브를 제공해야 한다"며 "수요자가 원하는 것을 파악하는 상향식 접근과, 필요하다면 법도 유연하게 바꿔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한상의는 "지난 2년간 구조적 문제의 통합적 해법을 모색해왔으며, 새로운 국가 리더십 출범을 앞두고 메가 샌드박스 구상을 국민께 쉽게 알리고자 다큐멘터리를 방영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