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EBN DB]](https://cdn.ebn.co.kr/news/photo/202504/1658130_671704_1241.jpeg)
지난주(3월 31일~4월 4일) 국내 증시는 공매도 재개와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고율 관세 부과로 인한 대외 리스크 심화로 큰 폭의 하락세를 보였다. 코스피 지수는 2557.98에서 시작해 2465.42로 마감하며 주간 기준 3.62% 하락했다. 외국인 투자자들은 유가증권 시장에서 총 5조9454억 원을 순매도했으며, 개인과 기관은 각각 4조4865억원, 8975억원을 순매수했다.
이번 주(7~11일)에는 국내 정치적 불확실성 해소에 대한 기대감이 상승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그러나 미국의 상호 관세 부과와 반도체, 의약품 등 특정 부문에 대한 추가 관세 발표, 그리고 경기 지표 둔화 우려는 여전히 하락 요인으로 남아 있다. 주중 발표되는 FOMC 회의록과 CPI 발표도 눈 여겨 봐야 한다.
NH투자증권은 이번 주 코스피 예상 밴드를 2360~2600p로 전망했다.
증권가는 글로벌 금융시장이 고율의 상호 관세 발표로 촉발된 충격을 일시적으로 흡수하면서 단기 저점을 통과한 것으로 분석했다. 대신증권은 미국의 관세 정책 불확실성이 정점을 지나고 있으며, 주요 경제 지표와 실적 시즌을 통해 시장이 재차 안정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예측했다.
최근 발표된 미국의 관세율은 시장의 예상보다 높은 수준이다. 한국을 포함한 주요 교역국에 20%를 초과하는 고율의 관세가 부과되면서 글로벌 시장의 불확실성이 일시적으로 극대화됐다.
이는 투자 심리를 위축시키며 코스피 지수가 2430선까지 급락하는 등 단기적 충격을 초래했다. 그러나 미국 상무장관 스콧 베센트는 이번 발표가 국가별 상한선임을 시사했으며, 행정명령 상 협상을 통해 조정이 가능하다는 점을 언급해 향후 관세 완화 가능성에 무게를 실었다.
이번 주에는 9일 3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록 발표에 이어 10일 소비자물가지수(CPI) 발표 등이 예정돼 있어 시장의 추가 방향성을 결정할 주요 변수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FOMC 회의록에서는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에 대한 연준 위원들의 평가와 불확실성 인식, 향후 경제 전망이 담길 것으로 예상돼 주목된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기대 인플레이션 상승에도 불구하고 하드데이터 상의 실제 인플레 지표가 둔화 조짐을 보이면, 최근 부각된 스태그플레이션 우려도 진정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3월 CPI에 대한 블룸버그 전망치는 전년 대비 2.6%로, 지난달보다 상승세가 둔화될 것으로 보인다.
중국 또한 CPI 및 PPI 발표를 앞두고 있다. 시장은 중국 정부의 경기부양 효과가 물가 지표에 어떻게 반영되는지를 주시하고 있다. 디플레이션 국면에서의 탈출 여부는 글로벌 공급망과 원자재 수요 회복 전망에도 중요한 영향을 줄 전망이다.
국내 시장에서는 오는 8일 삼성전자의 1분기 잠정 실적 발표가 예정돼 있다. 최근 반도체 수출 회복과 업황 반등이 맞물리며 선행 주당순이익(EPS) 추세도 개선되고 있다. 이에 따라 실적 불안 심리가 완화되고 있으며, 이는 코스피의 반등 모멘텀으로 작용하고 있다.
실제 코스피는 단기 급락 이후 안정세를 회복하고 있으며, 정치적 불확실성 해소 및 원화 강세, 외국인 자금 유입 등도 시장에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다.
대신증권은 상호 관세 리스크에서 비교적 자유로운 업종으로 반도체, 인터넷, 제약·바이오 업종을 지목하며 이들에 대한 비중 확대 전략을 유지할 것을 제안했다.
NH투자증권은 트럼프의 상호 관세에도 코스피 지수는 장중 낙폭을 회복하는 등 주가는 상대적으로 양호하다고 평가했다.
나정환 NH투자증권 연구원은 “한국의 경우 2024년부터 트럼프 리스크를 일부 먼저 반영했기 때문”이라며 “한국의 탄핵 선고와 3월 미국 실업률 등 아직 확인해야 할 리스크 요인이 존재한 만큼 선제적 대응보다는 이벤트 결과를 확인한 이후에 대응하는 것이 유효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NH투자증권은 투자 관심 업종으로 유통, 음식료, 소프트웨어, 엔터, 증권, 반도체 등을 꼽았다. 아울러 관세로 인한 전반적인 수요 감소 및 글로벌 물동량 감소를 고려할 때 관세 영향이 제한적인 내수주(유통·편의점)나 관세 회피주(엔터·증권)가 대안이 될 수 있다고 언급했다.
그러나 관세 발효 이후 국가별 협상 절차에 진입하면 오히려 관세 피해주(반도체·자동차)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도 짚었다.
나 연구원은 “반도체와 의약품의 경우 상호 관세 품목에서는 제외되었으나 수입차 관세처럼 미국이 특정 업종·제품에 대해 관세를 부과하는지 여부를 확인한 이후에 다시 볼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