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복현 금융감독원장 [출처=연합 ]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출처=연합 ]

“언제든 국내 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될 수 있다. 전 임직원은 비상대응체제 하에 경계심을 유지하고 즉각적인 시장안정 조치에 나설 수 있도록 준비하라.”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4일 미국의 고율 관세 조치로 인한 글로벌 금융시장의 혼란이 국내에 미칠 영향을 점검하기 위해 긴급 금융상황 점검회의를 소집해 이같이 지시했다.

이날 오후 여의도 금융감독원 본원에서 개최된 회의에서는 국내외 금융시장 동향과 주요 산업에 대한 영향을 집중적으로 논의했다.

이 원장은 “전일 나스닥이 6%나 급락하는 등 글로벌 금융시장이 극심한 변동성을 보이고 있다”며 “미국의 관세 정책은 단순한 무역 갈등을 넘어 세계 경제 질서를 흔드는 변수”라고 경고했다.

그는 이번 관세 사태가 단순히 일시적 충격에 그치지 않을 수 있으며, 국가 간 보복관세 확산, 글로벌 교역 둔화, 나아가 경기침체 가능성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를 표했다.

특히 그는 “미국 중심의 금융·경제 시스템에 대한 신뢰가 흔들릴 수 있다”며 “이러한 구조적 충격은 예측 불가한 위중한 상황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진단했다.

이에 따라 그는 금융감독원이 위기 대응을 위한 전면적 태세를 갖춰야 한다는 점을 강하게 주문했다. 이 원장은 회의에서 다음과 같은 조치를 강조했다.

먼저 외환, 주식, 채권 등 국내 금융시장 전반에 대한 실시간 점검을 강화하고 특히 관세 여파로 직접적인 타격을 받을 수 있는 기업들의 장·단기 자금조달 상황을 밀착 관리할 것을 지시했다.

그는 “기업의 유동성 위기를 방지하는 것이 단기적으로 가장 시급한 과제”라고 강조했다.

또한 고율 관세로 인해 타격이 불가피한 산업군의 국내외 공급망에 미치는 영향을 충격 전달 경로별로 분석하고, 기업들의 대응 현황과 사업 재편 계획에 필요한 자금 지원 방안을 신속히 마련할 것을 요구했다. 

이 원장은 “단순한 수치 분석에 머물지 말고, 실제 현장에서 어떤 문제가 발생하는지를 세밀하게 들여다봐야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지방 소재 중소 협력업체의 어려움을 철저히 점검하고, 정책금융과의 연계 지원 등 실질적이고 다양한 대응책을 마련할 것을 주문하며 “지방과 중소기업은 대기업에 비해 위기 대응 여력이 부족하다. 정책적 배려와 촘촘한 현장 지원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