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인교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이 8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을 방문해 취재진과 문답하고 있다. [출처=연합뉴스]
정인교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이 8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을 방문해 취재진과 문답하고 있다. [출처=연합뉴스]

정인교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이 미국의 고강도 '상호관세' 부과 방침에 대응하기 위해 알래스카 액화천연가스(LNG) 개발 및 조선 분야 협력을 핵심 협상 카드로 활용하겠다는 구상을 밝혔다.

정 본부장은 8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인근 덜레스 국제공항에 도착한 직후 한국 취재진과 만나 이같이 밝히며, 미국의 관세 장벽을 넘기 위한 본격적인 협상에 돌입했음을 시사했다. 이번 방미는 지난 2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각국에 부과할 상호관세를 발표한 이후 이루어진 한국 정부 고위급 인사의 첫 미국 방문이다.

또한 지난달 13~15일 제이미슨 그리어 미 무역대표부(USTR) 대표와 첫 만남을 가진 지 한 달도 채 되지 않아 다시 미국을 찾은 것으로, 이번 방문에서 그리어 대표와 재회해 한미 간 통상 현안을 놓고 심도 있는 협의를 진행할 예정이다.

정 본부장은 협상 전략과 관련해 "알래스카 LNG 건도 중요한 부분이고, 이미 한미 양국 간 협의가 진행되고 있는 조선 분야도 미측이 가장 관심을 갖는 영역"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이 두 분야는 우리가 경쟁력이 있고 세계에서 가장 잘 할 수 있는 부분이기에 충분히 협상 테이블 위에 올려놓고 협의를 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국이 경쟁력을 가진 산업에서의 협력을 지렛대로 삼아 미국의 관세 압박을 완화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협상의 최종 목표에 대해 정 본부장은 "상호관세를 아예 없애는 것이고, 그것이 정 어렵다면 일단 낮춰 나가는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상호관세) 25%이든 다른 품목별 관세율이 사실 매우 높다"며 "단기적으로는 모르겠지만 시간을 두고 본다면 우리나라 수출에 가장 큰 애로가 될 수밖에 없기 때문에, 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해서라도 미국과 끈질기게 협의해 다른 나라보다 절대 불리하지 않은 관세 대우를 받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한 의지를 피력했다. 다만 협상 시한을 못 박는 '배수진'에 대해서는 "전략적으로 판단하겠다"며 신중론을 폈다.

미국 측이 지속적으로 제기해 온 비관세 장벽 문제에 대해서는 유연한 입장을 내비쳤다. 정 본부장은 "사실 그동안 많이 해결됐고, 남아 있는 몇 가지는 국익 차원에서 판단해야 한다"면서도 "지난 두서너 달간 관계부처와 협의를 계속해왔으며, 우리 내부를 위해서라도 미국 측 요구를 수용하는 게 좋아 보이는 부분도 있어 종합적으로 판단할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정 본부장은 상호관세 부과에도 불구하고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의 관세 특혜는 여전히 유효하다는 점을 강조하며, FTA는 그대로 살아있다고 설명했다.

정 본부장은 지난번 그리어 대표와의 만남을 회상하며 "한국에 대한 인상이 매우 좋다고 느꼈다"며 "그런 측면에서 (이번) 협상이 무난하게 진행될 수 있지 않겠나 하는 인상을 갖고 있다"고 덧붙여 협상 결과에 대한 기대를 내비치기도 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