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사진 왼쪽)과 삼성전자 로고. [출처=각 사 제공]](https://cdn.ebn.co.kr/news/photo/202504/1658841_672493_3612.jpg)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9일(현지시간) 전격 발표한 상호관세 90일 유예 조치로 스마트폰 업계의 희비가 엇갈리는 분위기다.
생산기지 다변화를 이뤄온 삼성전자는 관세 리스크를 피해가게 된 반면, 중국 의존도가 큰 애플은 피해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이번 발표는 국가별 상호관세 발효 13시간 만에 나온 조치다. 중국을 제외한 70여 개국을 대상으로 90일간 관세를 유예하고, 이 기간 동안은 기본 관세율 10%만을 적용한다는 게 골자다. 반면 중국산(産) 제품에는 기존 104%에 21%가 추가된 125%의 초고율 관세가 그대로 매겨진다.
스마트폰 업계는 상호관세 적용의 최대 피해 업종으로 꼽혀왔다. 주력 생산 기지가 베트남(46%), 인도(32%) 등 대미 무역흑자가 큰 신흥국에 몰려 있어, 높은 관세 부담이 불가피하다는 우려에서다. 그러나 이번 유예 조치로 국면이 전환된 셈이다.
업계는 이번 관세 유예로 삼성전자의 반사이익을 점치고 있다. 삼성전자의 글로벌 스마트폰 생산 비중은 베트남 46%, 인도 21%, 중국 및 인도네시아로 추정된다. 이 가운데 중국에서 만들어지는 물량은 전량 JDM(주문자상표부착생산) 방식으로, 대부분 내수 혹은 제3국 수출용이다. 미국향(向) 물량은 베트남과 인도에서 생산되고 있어, 유예 기간 중 10%의 기본 관세만 부담하면 된다.
이창민 KB증권 연구원은 "지난해 기준 삼성전자의 미국 스마트폰 판매 비중은 약 13% 수준을 보였다"며 "삼성전자는 이번 유예기간 동안 미국향 물량 생산을 집중적으로 늘리고, 미국 내 재고를 선제적으로 비축함으로써 이후 관세 리스크를 최소화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반면 아이폰 생산이 중국 80%, 인도 14%, 베트남 5% 등으로 구성돼 있는 애플은 악재에 직면했다. 특히 중국 폭스콘 공장에서 미국으로 판매되는 아이폰 대부분이 만들어지고 있다. 미국 시장은 전체 판매량의 약 30%를 차지하는데 이번 조치로 인해 미국으로 수출되는 아이폰 대부분이 125%의 초고율 관세를 맞게 될 전망이다. 이로 인해 판매 가격 인상 혹은 마진 축소는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미·중 간 갈등이 다시 격화되는 흐름 속 중국 당국이 애플에 대한 보복성 조치를 가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중국 내 판매 금지, 규제 강화 등의 시나리오가 현실화될 경우 애플은 생산과 소비 양면에서 이중 타격을 입게될 수 있다는 게 업계 시각이다.
다만 애플이 관세 면제를 받을 가능성도 여전히 존재한다. 실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기 행정부 당시인 2018~2019년, 애플이 맥 컴퓨터 생산 일부를 미국으로 이전하겠다는 약속을 내세워 대중 관세를 면제해준 바 있다. 이번에도 비슷한 방식의 예외 적용이 이뤄질 수 있다는 관측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단기적으로는 삼성전자가 애플과 비교해 관세 측면에서 월등히 유리한 위치에 놓이게 됐다"며 "삼성은 유예 기간 동안의 생산 전략 최적화를 통해 미국 시장 내 입지를 한층 강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언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