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MW 코리아
BMW 코리아

BMW가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관세 부담을 피하기 위해 현지 생산을 늘리는 방안을 검토한다.

10일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BMW는 애널리스트를 대상으로 한 콘퍼런스콜에서 “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스파턴버그 공장의 교대근무를 확대해 생산량을 최대 8만대 늘리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스파턴버그 공장은 연간 40만대를 생산해 BMW의 생산기지 중 최대 규모를 자랑한다.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X시리즈 모델이 주로 이곳에서 생산된다.

BMW는 “미국에 약 한 달 분량의 재고를 보유하고 있다”며 “다음 달 말까지 미국에서 대다수 모델의 가격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자동차 업계가 트럼프 행정부와 협상해 무역전쟁을 피할 방법도 모색하고 있다고 했다.

앞서 트럼프 2기 행정부는 지난 3일부터 미국으로 수입되는 외국산 자동차에 25%의 관세를 적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유럽산 자동차에는 기존 관세 2.5%에 추가 관세 25%가 더해져, 총 27.5%가 부과된다.

이에 따라 주요 수입차 브랜드는 미국 사업 전략을 재고하고 있다. 재규어 랜드로버(JLR)는 트럼프 2기 행정부가 발표한 25% 상호관세 등 여파로 미국 시장 수출을 중단했다. 아우디 또한 4월 2일 이후로 미국 항구로의 선적을 중단했으며 이네오스 오토모티브, 폭스바겐 등은 미국 판매가를 인상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키워드
#BMW #트럼프 #관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