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HMM ]](https://cdn.ebn.co.kr/news/photo/202504/1658888_672554_4832.jpeg)
글로벌 컨테이너 해상 운임이 2주간 상승 흐름을 이어가고 있지만,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전방위 관세 정책 여파로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관세 부과에 따른 수요 위축 우려와 국가별 상이한 관세율 적용이 해운시장 전반에 부담으로 작용하며 시황 혼조세가 심화될거란 전망이다. 여기에 미중 간 무역 갈등이 재점화되면서 아시아~미주 항로의 불확실성이 커진 상황이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컨테이너 운임 시황을 나타내는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SCFI)는 지난 3일 기준 1392.78로 전주 대비 35.90포인트 상승했다.
미주 항로가 상승세를 이끌었다. 4월 1주 미주 서안항로 운임은 FEU(40피트 컨테이너)당 2313달러로 전주보다 136달러 상승했다. 미주 동안항로 역시 FEU당 전주 대비 112달러 오른 3306달러를 기록했다. 유럽항로는 TEU(20피트 컨테이너)당 1336달러로 집계됐다.
운임 상승의 배경에는 글로벌 선사들의 공급 조절이 있다. 한국해양진흥공사에 따르면 4월 한 달간 68항차에 이르는 결항이 예정돼 있다. MSC, ONE, COSCO 등 주요 선사들이 연간계약(S/C) 갱신 시점을 앞두고 적극적인 운임 방어에 나선 상태다.
하지만 이같은 노력에도 시장의 우려는 여전하다. 지난 2일 트럼프 대통령이 교역 상대국 대부분에 상호관세 부과를 선언했다. 주요국을 향한 상호관세 부과는 한시적으로 유예됐으나 시장의 불확실성은 계속되고 있다.
특히 트럼프 행정부는 한국(25%)을 비롯해 베트남(46%), 캄보디아(49%), 방글라데시(37%) 등 아시아에 높은 관세율을 부과했다. 미국 수입기업들의 물동량 감소 및 소싱 다변화 등으로 이어질 것으로 우려된다.
중국과의 관세전쟁이 격해지고 있는 점도 아시아~미주 등 주요항로에 타격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에 대한 관세를 125%로 올렸고 중국 정부 역시 10일(현지시간)을 기점으로 미국산 수입품에 대해 84%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기 시작했다.
업계는 관세 충격이 해상운송 수요 위축으로 이어질 가능성을 경계하고 있다. 가뜩이나 공급 과잉이 시장을 짓누르는 가운데 수요 부진이 겹치면 운임의 하방압력이 가중된다. 최근의 운임 반등세는 일시적일 수 있다는 분석이다.
아울러 미국 무역대표부(USTR)가 추진 중인 중국 선사 및 선박에 대한 항만 수수료 인상 방안은 해운산업 전반의 비용 부담으로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해양진흥공사는 “미국의 상호관세는 화주 부담 증가-제품가 상승-구매력 저하-물동량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면서 “수출량 조절 및 선적 지연을 통해 향후 정책 변화를 주시하는 기업도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고 진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