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승환 아모레퍼시픽 대표. [출처=연합뉴스]](https://cdn.ebn.co.kr/news/photo/202504/1659283_673000_2128.jpg)
아모레퍼시픽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정책에 대응해 미국 내 생산시설 구축을 가속화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15일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김승환 아모레퍼시픽 대표는 블룸버그TV 인터뷰에서 미국의 대중국 관세에 대응하기 위해 미국 고객사들과 비상계획을 논의하고 있다면서 향후 3∼5년 안에 미국 내 물류 및 모듈 제조시설에 투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실제 생산시설 구축에 5∼10년 정도 생각하고 있지만 최근의 변화와 흐름을 고려하면 조금 더 속도를 내야 할 것 같다는 게 김 대표의 설명이다.
또 단기적인 변동성에도 불구하고 미국 시장에 대한 회사의 장기적 비전과 의지는 변함없다고 했다.
블룸버그는 아모레퍼시픽이 한국 국내는 물론 중국에 제품 생산을 크게 의존하고 있어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관세에 취약하다고 짚었다.
트럼프 행정부 출범 후 미국이 중국에 부과한 관세는 145%에 달한다. 한국에 대해서는 25% 상호관세율을 발표했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국가별 상호관세를 90일간 유예하면서 기본 관세 10%만 적용하기로 한 상태다.
K팝·K드라마 등 한류에 힘입어 지난해 한국 화장품 산업의 대미 수출액은 프랑스를 제치고 1위를 기록한 바 있다.
중국 시장에서 한국 화장품 소비가 둔화하는 가운데 화장품 업계는 아마존·코스트코 등 미국 현지 유통업체와의 제휴, 틱톡·레딧 등을 활용한 온라인 판촉 등을 통해 미국 내 입지를 넓혀왔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아모레퍼시픽의 북미 시장 매출은 2021년 1018억원에서 지난해 5256억원으로 5배 늘어났다.
- [Beauty & Now] CJ올리브영, ‘올리브영N 성수’ 방문객 100만명 돌파 등
- [인터뷰] 최승노 자유기업원 원장 “기업주도·자유무역 투트랙 전략 필요”
- ‘K뷰티 주역’ 인디 브랜드의 그늘…제조사만 믿다간 발등 찍힌다
- 아모레퍼시픽, 미세조류 추출 물질서 피부재생 효능 발견
- [Beauty & Now] 아모레퍼시픽 한율, '어린쑥 트러블 진정 미스트' 출시 등
- 미-EU 무역 협상 난항, 철강 관세 등 이견 지속
- 명품 덮친 ‘트럼프 관세’ 후폭풍…줄줄이 가격 인상 카드 만지작
- 아모레퍼시픽 설화수, 美 최대 백화점 체인 메이시스 입점
- 3월 주요 유통업체 매출 9.2% 증가…온라인 19% 고성장
- 아모레퍼시픽홀딩스, 1분기 영업이익 1289억원… 전년比 5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