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과 예술의 만남. 잭슨 폴록의 아트코인(왼쪽 위, 아래)과 김지우 작가와 협업한 아트컬렉션 상품(오른쪽 위).[출처=삼성금거래소]
금과 예술의 만남. 잭슨 폴록의 아트코인(왼쪽 위, 아래)과 김지우 작가와 협업한 아트컬렉션 상품(오른쪽 위).[출처=삼성금거래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가운데, 달러화 가치에 대한 의구심이 증폭되면서 금 가격이 연일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다고 로이터 통신이 2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를 종합하면 이날 미 동부 시간 오후 3시 45분 기준, 금 현물 가격은 온스당 3428.39달러로, 전 거래일 대비 3.03% 상승했다. 장중 한때 온스당 3430달러까지 치솟으며 최고 기록을 갈아치웠다.

뉴욕상품거래소에서 6월 인도분 금 선물 가격 또한 온스당 3425.3달러로 마감하며, 전 거래일 대비 2.9% 상승, 최고치를 경신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으로 인한 글로벌 경기 불확실성이 커지는 상황에서,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에 대한 금리 인하 압박이 지속되면서 안전자산 쏠림 현상이 심화된 것으로 분석된다.

주요 6개 통화 대비 달러화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 인덱스는 장중 97.9까지 하락하며 2022년 3월 이후 3년 만에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연준에 대한 압박이 연준의 통화정책 결정 독립성에 대한 우려를 증폭시키고, 이는 미국 자산 전망에 대한 투자자들의 불안감을 키운 것으로 보인다.

금 시세는 지난 16일 온스당 3300달러를 넘어선 데 이어, 일주일도 채 지나지 않아 3400달러 선까지 돌파하는 등 가파른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다만, 최근 금값 상승세가 과도하다는 지적과 함께 단기적인 조정 가능성에 대한 경고도 제기되고 있다.

키트코 메탈의 짐 위코프 선임 애널리스트는 "금값의 일일 변동 폭이 커지는 것은 금값 강세장이 단기적인 시장 고점에 가까워지고 있다는 초기 신호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