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강서구 한 공사현장, 기사와 무관. [출처=EBN]
서울 강서구 한 공사현장, 기사와 무관. [출처=EBN]

최근 국내 건설경기 침체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보다 심각하다는 진단이 나왔다. 전문가들은 정책적 유동성 공급과 산업 체질 개선이 시급하다고 지적한다.

15일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이하 건산연)에 따르면, 현재 건설경기 악화 속도가 과거보다 훨씬 빠른 상태인 것으로 조사됐다. 2023년 건설수주는 전년 대비 16.6% 감소해 2008년(-6.1%)보다 낙폭이 컸다. 

건축 착공면적은 2023년 -31.7%로, 금융위기 당시(-22.2%)를 상회했고, 건설기성은 2024년 들어 -3.2%로 전환되며 둔화가 아닌 명백한 축소 흐름을 보이고 있다.

건설투자 역시 2022년과 2024년에 각각 3.5%, 3.0% 줄며 금융위기 당시보다 부진했다. 미분양 주택 증가율(2022년 기준 284.6%)은 2008년 수준을 위협하고 있다. 

건설사들의 수익성 지표인 매출액세전순이익률과 영업이익률은 각각 3.4%, 3.0%까지 떨어졌다.

건산연은 이 같은 흐름의 핵심 배경으로 장기 저성장 기조와 제한적인 통화정책 여력을 꼽았다. 

2008년 위기 당시 한국은행은 기준금리를 단기간에 3%포인트 이상 인하했으나, 현재는 금리 인하 속도가 더딜뿐 아니라 물가와 미국과의 금리 차이 등을 감안할 때 정책적 대응 여지도 좁다고 분석했다.

여기에 자재·인건비 상승에 따른 공사비 부담, 대출 규제, 고금리 지속, 가구 증가세 둔화 등 복합 요인까지 겹치며 건설업 전반의 수익성과 시장 수요가 동시에 위축되고 있다는 설명이다.

건산연은 "공공 발주 정상화와 도심 재정비 활성화를 통한 유동성 공급이 시급하다"며 "중장기적으로는 민간 자본 유입 확대, 공사비·기간 현실화, 인력 수급 개선 등 체질 전환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