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0∼2024년 건설투자 디플레이터 증감률 시기별 특징.[출처=한국건설산업연구원]
1990∼2024년 건설투자 디플레이터 증감률 시기별 특징.[출처=한국건설산업연구원]

내년 이후 건설 경기 회복 국면에서 자재 가격이 급등할 가능성에 미리 대비해야 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이하 건산연)은 9일 '건설물가 세부 품목별 변화 패턴 분석 보고서'를 통해 "건설 경기 둔화기 이후 회복기에는 자재 가격 상승 속도가 연평균 2∼6%대로 크게 확대되는 경향이 있다"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건산연은 1990년 이후 건설 경기를 투자 둔화·침체기와 회복·호황기로 나눠 디플레이터(물가조정지수) 추이를 분석한 결과, 침체기에는 건설물가 상승률이 평균 2∼3%대였던 반면, 호황기에는 5∼8%로 크게 높아졌다. 

이에 따른 평균 상승률은 둔화·침체기 3.0%, 회복·호황기 6.1%로 집계됐다.

특히 건설 경기 민감도가 높은 품목으로는 슬래브, 빌릿 등 철강 1차제품, 철근 및 봉강, 중후판 등의 1차 금속제품과 나사, 철선제품, 구조용 금속제품 등의 금속가공제품이 꼽혔다.

건산연은 "2023년부터 올해까지는 경기 둔화·침체기가 이어지면서 디플레이터 상승률이 1∼2%대에 머물렀다"고 분석했다. 

그러나 이재명 정부가 내년 이후 경기 부양책을 본격 추진할 경우, 정책 효과가 나타나는 시점에서 자재 가격이 급등할 가능성을 우려했다.

박철한 연구위원은 "이 시점에 건설 자재 가격이 급등할 경우 정책 효과가 상당 부분 반감될 수 있다"면서 "내수 회복 대책에 건설자재 안정화 방안도 함께 포함할 필요가 있다"고 진단했다.

구체적 대응 방안으로는 △원료 확보 및 재고 관리로 가격 급등 완화 △산업용 전기세 감면 등을 통한 생산단가 상승 속도 억제 △해상·산림 골재 채취 허가 확대 △3기 신도시 등 지연된 공사 동시 착공에 대비한 수급조절 대책 등을 제시했다.

건설사들에는 자재 선구매, 장기계약을 통해 비용 위험을 분산하고, 전략적 조달계획을 수립할 것을 권고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