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콩 재배지역. [출처=농촌진흥청]](https://cdn.ebn.co.kr/news/photo/202505/1663258_677634_2824.jpg)
국산 콩 산업의 체계적인 육성과 소비 기반 확대를 위한 '논콩 의무자조금' 논의가 본격화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5월 20일 정부세종청사에서 논콩 의무자조금 설치를 위한 킥오프 회의를 개최한다고 19일 밝혔다.
이번 회의는 지난해 11월 출범한 논콩 임의자조금을 기반으로 의무자조금 전환을 모색하는 자리로, 콩 생산자단체, 농협중앙회, 지자체,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등 관련 기관이 참여한다.
의무자조금은 콩 관련 농산업자들이 자율적으로 조성한 재원을 바탕으로 콩 산업 발전을 위한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는 제도다. 자조금은 소비자와 생산자 모두의 권익을 보호하며, 수급 조절과 품질 향상, 소비 촉진, 연구·홍보 등 다방면에 활용될 수 있다.
농식품부에 따르면, 논콩 의무자조금이 도입되면 콩의 경쟁력 강화와 수급 안정, 소비 확대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를 통해 국산 콩 산업의 지속가능성과 자립 기반도 함께 제고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장수용 (사)한국논콩자조회 회장은 "콩의 소비 촉진과 품질 향상, 자율적인 수급 조절을 통해 산업의 생산성과 경쟁력을 높이는 데 앞장서겠다"며 "향후에는 자조금 범위를 논콩에서 밭콩까지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정부 역시 논의의 신속한 추진을 강조했다. 변상문 농림축산식품부 식량정책관은 "이번 킥오프 회의를 통해 의무자조금 전환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생산자와 단체, 농협의 적극적인 참여와 협력이 필수적"이라고 말했다.
논콩 의무자조금은 콩 관련 농업인과 생산자단체가 납부하는 방식으로 조성된다. 거출된 자금은 △국산 콩 소비 촉진 △품질 제고 △자율적 수급 관리 △정책·기술 연구 등 다양한 목적에 사용될 예정이다. 의무자조금이 법적으로 설치되기 위해서는 생산자 50% 이상의 동의와 해당 자조금 설치 준비위원회의 구성 및 승인 절차를 거쳐야 한다.
농식품부는 킥오프 회의를 통해 추진 경과를 공유하고, 설치 준비위원회 구성 등 구체적 실행방안을 논의할 방침이다.
콩은 최근 수입 의존도가 높아지며 국내 자급률이 하락세를 보이고 있는 주요 전략작물이다. 이번 논콩 의무자조금 논의가 콩 산업의 재도약을 위한 실질적인 전환점이 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