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경기가 2분기부터 완만한 회복 흐름을 보일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출처=연합뉴스]
국내 경기가 2분기부터 완만한 회복 흐름을 보일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출처=연합뉴스]

국내 경기가 올해 1분기를 저점으로 2분기부터 회복 흐름에 들어설 수 있지만 개선 속도는 더딜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다.

민간소비와 건설투자 등 내수가 여전히 위축돼 있고 대외 리스크 역시 해소되지 않았다는 분석이다.

8일 현대경제연구원은 '역성장 탈출을 위한 적극적 경기 활성화 노력 시급' 보고서를 통해 "1분기 과도한 경기 침체에 따른 기저효과로 2분기 반등 가능성이 크다"고 진단했다.

올해 1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전기 대비 -0.2%를 기록해 마이너스를 나타낸 바 있다.

연구원은 경기 동향을 보여주는 지표들도 개선세를 보이고 있다고 밝혔다. 경기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지난 1월을 저점으로 3개월 연속 상승했으며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도 같은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내수 부문에서는 회복 흐름이 미약하다는 지적이다. 보고서는 "민간소비와 건설투자 등 내수 경기는 침체 국면을 지속 중이며 체감 개선이 더디다"고 분석했다. 또한 수출 역시 미국의 관세정책 강화에 따라 2분기 이후 급락 가능성도 존재한다고 내다봤다.

현대경제연구원은 한국 경제의 향후 경기 경로를 △U자형 시나리오 △스우시 시나리오 △더블딥 시나리오 세 가지 시나리오로 제시했다.

U자형 시나리오는 지난해의 경기 하강 속도와 비슷한 수준의 완만한 회복을 가정해 올해 말 경제 상황이 실질적으로 개선되는 낙관적 전망이다.

스우시 시나리오는 회복은 하지만 속도가 더딘 국면으로, 연구원이 제시한 기본 전망이다. 더블딥 시나리오는 경기 반등 후 다시 침체로 접어드는 비관적 전망이다. 

기본 시나리오인 스우시형의 경우, 글로벌 통상 불확실성이 계속되고, 거시경제 정책이 소극적으로 대응할 경우 경기 회복 탄력성이 제한된다는 전제가 깔려 있다. 이에 따라 연구원은 올해 한국 경제 성장률을 0.7%로 전망했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U자형 시나리오에서는 성장률이 1%대, 더블딥의 경우 0%대 초반까지 낮아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연구원은 장기적 성장 잠재력 확충도 중요하지만, 당면한 경기 침체에서의 탈출을 위해 단기 부양책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보고서는 "가계와 기업의 심리가 신속히 회복될 수 있도록 정책 대응의 적시성이 중요하다"며 "적극적인 경기 대응형 추경 편성과 기준금리 조정, 거시정책 조율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또한 △공급 주도 건설경기 활성화 △미국과의 관세 협상 조기 마무리 △중국과의 경제협력 강화 △취약계층 맞춤형 복지 확대 등을 주요 대응 과제로 제시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