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택배사가 '주7일 배송' 수수료를 두고 노조와 갈등을 겪고 있다. [출처=오픈AI]
국내 택배사가 '주7일 배송' 수수료를 두고 노조와 갈등을 겪고 있다. [출처=오픈AI]

 

국내 택배사가 '주7일 배송'을 확대 추진하는 가운데, 수수료를 둘러싼 노조와 대리점 간 갈등이 격화되고 있다.

11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전국택배노조 CJ대한통운본부는 지난 10일 주7일배송에 따른 추가 수수료 인상 등의 문제로 CJ대한통운 대리점연합회와의 교섭을 중단하고 중앙노동위원회에 조정을 신청했다.

CJ대한통운 대리점연합회와 택배노조는 지난 1월 14일 기본 협약을 맺고서 본협약 체결을 위한 협상을 해왔다. 그러나 주7일 배송에 따른 휴일 추가 수수료 인상, 일부 대리점의 고율 수수료 인하, 산재보험료 부담 등의 문제에서 양측이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

노조는 주7일 배송 확대에 따라 택배기사의 근무일이 늘어나는 만큼, 정당한 보상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노조는 "고율의 대리점수수료 문제, 추가수수료 인상문제, 산재보험료 부담 등 쟁점과 관련하여 원청 CJ대한통운 및 대리점이 결단하라"며 "중앙노동위원회가 상식적인 조정안을 낼 것이라 기대한다"고 밝혔다.

CJ대한통운은 일요일 배송 시 25%, 타구역 배송 시 0∼25%의 추가 수수료를 각각 지급한다. 노조는 “일요일 배송 물량이 매우 적어 추가 수수료로는 기름값도 안 나오는 상황”이라고 토로했다. 일요일 배송은 최소한 토요일 배송 수수료보다 적어서는 안된다는 입장이다.

한진 역시 노조와의 수수료 문제를 풀어내지 못했다. 지난달 27일부터 수도권 및 일부 지방 주요 도시에서 주7일 배송 시범 운영에 들어갔지만 이 과정에서도 노조와 수수료 문제를 놓고 평행선을 달리고 있다.

노조는 휴일 배송 불참에 대한 불이익 처우 금지와 휴일 배송 물량에 대한 추가 수수료 100% 지급 등을 주장하고 있다. 한진의 일요일 배송 물량이 경쟁사 CJ대한통운 대비 적은 만큼 수수료를 더 받아야 한다는 주장이다.

또한, 한진 원청이 충분한 논의 과정 없이 일방적으로 주 7일 배송을 추진한 만큼 불참할 권리도 보장돼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한진과 달리 CJ대한통운은 주 7일 배송 시행에 앞서 ‘주 5일 근무제’ 도입을 내걸고 협상에 임한 바 있다.

택배업계는 빠르게 변화하는 소비자 요구에 맞춰 유연한 서비스 제공이 절실하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노동환경 변화와 수수료 문제를 어떻게 조율하느냐가 관건이다.

택배업계 관계자는 “휴일배송은 소비자의 요구에 따른 변화로 대리점, 택배기사, 회사 모두가 생존하기 위한 방안이다”며 “시행과정에 생기는 갈등을 대화로서 원만히 해결해 지속 가능한 서비스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해야한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