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진 택배노조 한진본사 앞에서 '주7일 배송' 반대 기자회견 [사진=김태준 기자]
한진 택배노조 한진본사 앞에서 '주7일 배송' 반대 기자회견 [사진=김태준 기자]

 

한진 택배노조가 한진 원청의 주7일 배송 강행에 제동을 걸었다. 사측이 대리점에 휴일배송을 강요하고 모든 비용을 전가하고 있다며 ‘졸속 시행’이라 꼬집었다.

17일 한진 택배노동조합은 한진 본사 앞에서 일방적 주7일 배송 강요에 반대하는 입장을 발표했다. 주7일 배송을 노조와 아무런 협의 없이 일방적으로 강제 시행된 사안이라는게 중점이다.

노조는 한진이 오는 27일 주7일 배송을 강행하기 위해 계약 관계인 대리점에 조편성을 강요하고 대리점은 택배노동자들에게 시행을 강요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앞서 주7일 배송을 시행한 CJ대한통운은 시행 6개월 전 노조에 사전협의를 요청한 것과 비견된다.

한진 택배노조의 주7일 배송 반대는 한진의 일방적인 강행 태도 때문이다. 한진은 수수료, 인원 확대 등 실질적인 현안을 제시하지 않고 대리점과 택배기사가 알아서 협의하길 바라는 눈치다. 실질적 주7일 배송의 당사자인 택배기사와 소통은 전혀 없었다는 게 노조의 주장이다.

인원 확대 없이 주7일 배송 시행하게 되면 대리점은 자신들의 부담을 택배노동자에게 전가하게 될 가능성은 커진다. 이 경우 주7일 근무가 강요되며 과로와 과로사 위험이 급격히 증가할 수 있다. 휴일의 택배기사의 물량을 또 다른 택배기사 혼자 담당하기 벅차다는 게 현장의 중론이다.

또한 주7일 배송을 강제하는 과정에서 패널티, 용차비 청구 등의 금전적 불이익과 구역 조정 협박, 퇴사 압박 등 고용불안도 발생할 수 있다. 이미 몇몇의 대리점에서 ‘절이 싫으면 중이 떠나라’라는 식의 협박도 자행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가운데) 김찬희 택배노조 한진본부장, (오른쪽) 김광성 택배노조 위원장 [사진=김태준 기자]
(가운데) 김찬희 택배노조 한진본부장, (오른쪽) 김광성 택배노조 위원장 [사진=김태준 기자]

 

김광석 택배노조 위원장은 “한진은 단순히 ‘시행하라’는 명령만 내렸을 뿐,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문제들에 대한 어떠한 대책도 마련하지 않고 모든 부담을 대리점에 전가하고 있다”며 “노동자의 권리를 대리점이 알아서 하라는 식의 무책임한 태도는 심각한 문제이며 현장에서의 심각한 과로사를 유발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현장의 한진 택배노조원들도 원청의 주7일 배송 강행을 반대하고 있다. 반대 서명운동 일주일만에 한진 택배노동자 1917명이 동참했다. 주7일 배송 설문조사에서는 98%가 일방 졸속 주7일 강행 반대했으며, 88%는 일방 강행 시 불참하겠다는 의사를 표명했다.

김찬희 택배노조 한진본부장은 “주7일 배송도 물컵 던지듯 현장에 던져 놓은 것인가”라며 “우리는 배송하는 기계가 아니며, 가정과 사회에서 소중한 삶을 살아가는 사람이다”라고 호소했다.

이어 “택배노동자의 건강권과 휴식권을 보장할 대안 없이 협박을 통한 일방적이고 졸속으로 주7일 배송을 추진한다면 전국택배노동조합은 모든 방법을 동원하여 대대적인 반대 투쟁에 나설것”이라고 강조했다.

한진 택배노조는 주7일 배송 자체를 무조건 반대할 생각은 없다고 설명했다. 쿠팡 발 배송 속도 경쟁보다 우선돼야 할 것은 택배노동자의 건강권과 휴식권을 보장하는 협약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한진은 고객 서비스를 제고하고 급변하는 대내외 환경하에서 집배점, 택배기사, 회사가 모두 생존하기 위한 방안으로 휴일배송을 검토해왔으며, 오는 27일부터 시범운영을 개시한다는 방침이다.

한진 관계자는 “주요 고객사 대상으로 기존 수도권에서 제공하던 휴일배송 서비스를 주요 도시로 확대해 시범운영에 들어갈 예정이다”며 “집배점과 택배기사와 충분한 논의를 통해 참여를 유도할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