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도 최저임금 협의를 앞두고 중소기업 현장에서 인건비 부담을 호소하는 목소리가 거세지고 있다. 중소기업 10곳 중 6곳 이상이 최저임금 동결이나 인하를 요구하며 경영 여건 악화를 우려하고 있다. [출처=연합뉴스]](https://cdn.ebn.co.kr/news/photo/202506/1666461_681393_5812.jpg)
내년도 최저임금 결정을 앞두고 중소기업들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중소기업 3곳 중 2곳이 최저임금을 동결하거나 인하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인건비 부담 완화를 요구하고 있다. 경영환경 악화 속에서 감원과 신규 채용 축소 가능성까지 제기되고 있어 최저임금 인상 논의가 한층 신중해질 전망이다.
중소기업중앙회가 15일 발표한 ‘중소기업 최저임금 관련 애로 실태 및 의견조사’ 결과에 따르면, 조사에 응한 1170개 중소기업 중 66%가 내년도 최저임금 동결 또는 인하를 요구했다. 특히 매출 10억원 미만 소규모 기업(75.3%)과 종사자 10명 미만 기업(73%)에서 이러한 응답 비율이 더 높아 영세기업일수록 인건비 압박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최저임금(시간당 1만30원) 자체도 이미 과중하다고 답한 기업이 72.6%에 달했다. 최저임금 인하 필요성을 직접적으로 밝힌 비율도 22.2%로, 작년 조사 대비 상승세를 보였다.
이는 내수 침체 등 전반적인 경영환경 악화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분석된다. 실제로 중소기업의 64.1%는 경영상황이 지난해보다 나빠졌다고 진단했다.
최저임금이 감내 수준을 초과할 경우 대응 방안으로 ‘인력 감원’ 또는 ‘신규 채용 축소’를 선택한 기업이 45.8%에 달해 고용시장에도 악영향이 우려된다. 기존 인력을 줄이겠다는 응답 비율은 지난해 6.8%에서 올해 23.2%로 급증했다.
제도 개선 필요성도 높게 제기됐다. 응답 기업의 33.2%가 취약업종 차등 적용을 최우선 과제로 꼽았고, 31.8%는 현행 1년인 최저임금 결정주기를 2년 이상으로 확대할 것을 요구했다.
중기중앙회 관계자는 “중소기업들의 한계 상황이 계속되고 있다”며 “업종별 구분 적용 도입과 함께 인상 최소화, 동결 등을 통해 제도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