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도 최저임금으로 노동계가 제시한 시급 1만1260원(12.3% 인상안)에 대해 소상공인 단체가 강한 반발을 나타냈다. [출처=연합]
내년도 최저임금으로 노동계가 제시한 시급 1만1260원(12.3% 인상안)에 대해 소상공인 단체가 강한 반발을 나타냈다. [출처=연합]

내년도 최저임금으로 노동계가 제시한 시급 1만1260원(12.3% 인상안)에 대해 소상공인 단체가 강한 반발을 나타냈다.

2일 송치영 소상공인연합회 회장은 특별담화문 발표를 통해 “노동계의 최저임금 인상 요구는 영세 소상공인의 현실을 무시한 무리한 주장”이라며 “생존을 위협받는 자영업자들의 목소리를 외면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전날 열린 제8차 최저임금위원회 회의에서는 노동계가 시급 1만1260원을, 경영계는 1만110원을 각각 제안한 바 있다.

송 회장은 “노동자의 권리만큼이나 소상공인의 생존권도 존중받아야 한다”며 “감당할 수 없는 임금 수준은 결국 고용 자체를 붕괴시킬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대기업 정규직 중심의 기준을 모든 업종에 일률적으로 적용하는 것은 불합리하다”며 업종별 차등 적용 등의 해법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한 “최저임금의 급격한 인상은 자영업자들을 벼랑 끝으로 내몰고 있다”며 “최저임금위원회와 노동계는 소상공인의 절박한 현실에 귀 기울이고 지속 가능한 상생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