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V5 [출처=기아]
PV5 [출처=기아]

기아가 차세대 바디 기술인 '플렉시블 바디 시스템(Flexible Body System)'을 처음 적용한 중형 PBV '더 기아 PV5(PV5)'를 공개하고, PBV(차량 그 이상의 플랫폼) 시장 공략에 본격 나섰다고 17일 밝혔다.

플렉시블 바디 시스템은 차체, 도어와 테일게이트 등 무빙류, 외장과 내장 주요 부품을 모듈화해 조립하는 방식으로, 레고 블록처럼 다양한 조합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이를 통해 기아는 설계 유연성과 생산 효율성, 구조적 안정성, 유지보수 편의성을 동시에 확보했다.

PV5는 전면부와 1열 구조는 전 모델에서 동일하게 운영하고, 1열 이후와 후면부는 리어 오버행, 테일게이트, 쿼터 글라스, 루프 등 부품을 모듈화해 다양한 차종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이 방식으로 기아는 최대 16종의 바디 구성을 지원할 수 있는 체계를 갖췄다. 초기에는 패신저(롱), 카고 컴팩트(3도어/4도어), 카고 롱(3도어/4도어), 카고 하이루프(3도어/4도어) 등 7종이 기본 바디로 개발된다.

예컨대, PV5 카고 롱 모델은 기존 컴팩트 모델의 리어 오버행 모듈을 뒤로 옮기고, D필러 사이에 롱바디 모듈을 추가하는 방식으로 전장을 늘린다. 여기에 쿼터 글라스 모듈이나 테일게이트 모듈만 바꿔 장착하면 손쉽게 패신저 모델로 전환도 가능하다.

플렉시블 바디 시스템 [출처=기아]
플렉시블 바디 시스템 [출처=기아]

기아는 고객의 다양한 니즈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도록 조립형 후측방 어라운드 가니쉬와 외골격 환형 구조도 도입했다. 후측방 가니쉬는 플라스틱 복합재로 제작되며, 차종과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이 가능하고, 손상 시 손쉽게 일부만 교체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또한 차체 외측까지 골격을 확장한 외골격 환형 구조와, 롱바디 모델에 적용된 외골격 듀얼 환형 구조를 통해 차체 강성과 NVH 성능도 높였다. D필러 전방의 외측 패널은 2종의 금형으로만 다양한 바디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해 생산 효율성도 극대화했다.

실내 공간에도 플렉시블 바디 시스템이 적용됐다. 트렁크의 러기지 사이드 트림은 바디 사양과 고객 니즈에 따라 총 7종으로 운영되며, 애드기어와 L-Track 마운팅 등 다양한 용품 장착을 지원한다.

기아는 이달 중 PV5 패신저 5인승(2-3-0)과 카고 롱 모델 양산을 시작으로 다양한 모델을 순차 출시할 계획이다. 2027년에는 대형급 PBV 출시도 예고돼 있으며, 이를 통해 고객 맞춤형 이동수단 시장에서 입지를 강화한다는 전략이다.

이영호 기아 MSV바디설계1실 상무는 "플렉시블 바디는 기존 개념과 전혀 다른 새로운 차량 설계 방식의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고객의 다양한 라이프스타일과 사업 환경에 맞춘 혁신을 지속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기아는 오는 7월 22일 경기도 광명 아이벡스 스튜디오에서 '더 기아 PV5 테크 데이'를 열고, 플렉시블 바디 시스템과 PV5의 핵심 기술을 미디어에 공개할 예정이다.

플렉시블 바디 시스템 [출처=기아]
플렉시블 바디 시스템 [출처=기아]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키워드
#기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