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상공회의소 전경. [출처=대한상공회의소]
대한상공회의소 전경. [출처=대한상공회의소]

대한상공회의소 신기업가정신협의회(ERT)는 18일 경주시 황촌마을을 방문해 청년 창업과 마을주도형 지역재생의 현장을 둘러보고 간담회를 열었다고 밝혔다.

이번 방문은 16일부터 19일까지 열리는 대한상의 하계포럼 일환으로, 지방소멸 위기 속에서 경주가 추진 중인 지역재생 모델을 공유하고 확산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간담회에는 최태원 대한상의 회장을 비롯해 주낙영 경주시장, 전대욱 한국수력원자력 부사장, 이상걸 경주상공회의소 회장, 김세준 호반건설 전무, 정기옥 대한상의 여성기업위원장 등 50여 명이 참석했다. 경주지역 청년 창업가와 마을기업 관계자들도 함께 자리했다.

간담회에서는 먼저 청년 창업지원 모델인 ‘청년고도 프로젝트’가 소개됐다. 해당 프로젝트는 청년이 지역에 정착해 창업할 수 있도록 돕는 정주형 창업 플랫폼이다. 경주시와 한국수력원자력의 후원으로 4년째 운영되고 있으며, 경주시내 폐건물을 리모델링한 창업지구 ‘신골든창업지구’를 중심으로 입주기업이 꾸준히 늘고 있다.

청년 창업가들은 지역 자산을 활용한 공예소품, 전통주 등 특색 있는 상품을 선보이며 관광 수요를 유치하고 있다. 한 청년 창업가는 "프로그램 덕분에 초기 사업 리스크를 줄일 수 있었고, 적막했던 거리가 활기를 되찾고 있다”며 “앞으로의 변화가 더욱 기대된다"고 말했다.

두 번째로 소개된 '행복황촌'은 마을이 직접 기획·운영하는 대표적인 지역재생 사례다. 한때 철도 관사촌이었던 경주시 황오동 황촌마을은 2020년부터 ‘일상이 여행이 되는 마을’이라는 슬로건 아래 마을호텔, 공유주방, 공예공방 등이 조성되며 완전히 새로워졌다.

현재 약 50명의 주민이 협동조합을 꾸려 사업을 운영하고 있으며, 오래된 한옥을 개조한 마을호텔은 외국인 관광객까지 방문하는 인기 명소로 자리잡았다.

정수경 행복황촌협동조합 이사장은 "지역재생은 주민이 직접 공간에 생명을 불어넣는 일"이라며 "전국 지자체가 주목하는 우수사례로 성장한 만큼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간담회와 함께 청년기업 팝업스토어와 마을 탐방 프로그램도 열렸다. 팝업스토어에는 ‘경주식회사’의 수제 막걸리, ‘어렁목’과 ‘목공방’의 공예품, ‘오늘을담다’ 등 로컬 식당 등 청년기업 12곳이 참여해 다양한 콘텐츠를 소개하고 협업 기회를 모색했다.

마을 탐방에는 1호 마을호텔 ‘스테이황촌’, 커뮤니티 공간 ‘정지간’, ‘황오동사랑채’ 등을 둘러보며 지역의 변화를 공유했다.

주낙영 경주시장은 "경주는 유서 깊은 역사도시이자, 청년과 마을이 함께 미래를 열어가는 변화의 중심지"라며 "청년고도와 행복황촌 사례가 대한민국 지역재생의 모델이 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전대욱 한수원 부사장은 "한수원은 경주에 본사를 둔 기업으로서 지역공동체 회복과 청년 창업을 연결하는 다양한 시도를 계속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상걸 경주상의 회장은 "경주의 변화는 기업과 지역사회가 함께 만든 성과”라며 “이번 간담회를 계기로 더 많은 기업이 지역 상생에 나서길 바란다"고 전했다.

ERT는 대한상의가 2022년부터 운영 중인 민간 주도 협의체로, 현재까지 약 1800개 기업이 참여하고 있다. 이들은 복지 사각지대 해소·청년 돌봄·지역재생·기후위기 대응 등 사회적 실천 중심의 기업 연대 활동을 지속하고 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