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하이닉스의 청주 공장 'M15' 전경. [출처=SK하이닉스]
SK하이닉스의 청주 공장 'M15' 전경. [출처=SK하이닉스]

SK하이닉스가 올해 2분기 글로벌 메모리 반도체 시장에서 삼성전자를 제치고 사상 첫 매출 1위를 차지했다. 고대역폭 메모리(HBM) 시장 선점이 매출 성장을 견인한 것으로 풀이된다.

1일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리서치에 따르면 SK하이닉스는 2분기 D램과 낸드를 포함한 전체 메모리 시장에서 21조8000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삼성전자 메모리 반도체 매출은 6000억원 더 적은 21조2000억원을 기록했다.

SK하이닉스가 삼성전자를 메모리 부문에서 추월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양사의 희비를 가른 건 HBM 기술력이다. SK하이닉스는 2023년 1분기 3조4000억원에 달하는 대규모 적자를 기록했으나 이후 생산 효율 개선과 기술 중심 전략을 강화해 실적 반등에 성공했다.

반면 삼성전자는 HBM 부진의 여파로 시장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성과를 냈다. 삼성전자의 HBM 점유율은 작년 2분기 41%에서 올해 2분기 17%로 급락했다. 대중국 수출 규제에 따른 판로 제한과 HBM 제품 신뢰 확보 지연 등에 원인이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카운터포인트리서치는 "삼성전자가 점유율을 만회하기 위해서는 HBM3E 판로 다각화와 엔비디아의 품질 테스트 통과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최근 테슬라 수주에 성공한 점을 감안할 때 향후 삼성의 전반적인 실적 개선을 기대해볼 만하다"고 분석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