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현지시간) 존 펠란 미 해군성 장관 등 주요 인사들이 한화필리조선소를 방문했다. (왼쪽에서 두 번째부터 러셀 보트 백악관 예산관리국(OMB) 국장, 존 펠란 미 해군성 장관,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출처=한화그룹 ]
30일(현지시간) 존 펠란 미 해군성 장관 등 주요 인사들이 한화필리조선소를 방문했다. (왼쪽에서 두 번째부터 러셀 보트 백악관 예산관리국(OMB) 국장, 존 펠란 미 해군성 장관,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출처=한화그룹 ]

한미 통상협상이 교착 상태를 벗어난 데에는 한화그룹이 인수한 필리조선소가 결정적인 전환점이 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미국 조선업 재건의 상징으로 떠오른 한화필리조선소가 협상의 물꼬를 텄고, 김동관 한화 부회장은 한미 조선협력의 미래 청사진을 제시하며 그 중심에 섰다.

1일 한화그룹에 따르면, 지난달 30일(현지시간) 존 펠란 미 해군성 장관과 러셀 보트 백악관 예산관리국장이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에 위치한 한화필리조선소를 방문했다.

보트 국장은 트럼프 대통령의 최측근으로, 미국 정부 조선업 재건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고 있다. 그의 필리조선소 현장 방문 직후 한미 간 '마스가(MASGA) 프로젝트'를 포함한 통상협상 타결이 발표된 것으로 알려졌다.

김동관 부회장은 이날 데이비드 김 필리조선소 대표와 함께 주요 생산 현장을 안내하며 미국 내 신규 조선소 건설, 조선 인력 양성, 조선기자재 공급망 구축, 유지보수(MRO) 등 미국 조선 생태계 재건을 위한 한화의 역할을 구체적으로 설명했다.

김 부회장은 "한화는 세계 최고 수준의 설계·건조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며 "필리조선소를 교두보 삼아 MASGA 프로젝트 전반을 주도하겠다"고 강조했다.

방문단은 트레이닝 아카데미에서 훈련 중인 용접기술생들과 만나 현장 분위기를 공유했고, 한화오션 거제조선소에서 도입한 자동용접 설비 등도 둘러봤다. 러셀 보트 국장은 "한화가 이곳에서 보여주고 있는 투자와 현지 직원들과의 파트너십을 높이 평가한다"고 말했다.

조선업 재건을 미 정부의 전략산업 최우선 과제로 꼽은 펠란 장관도 "3개월 전 한국 한화오션을 방문했을 때 확인한 기술력이 이곳 필리조선소에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를 직접 보는 것이 중요했다"고 강조했다.

펠란 장관은 앞서 지난 4월 한화오션 거제사업장을 방문해 김동관 부회장의 안내를 받아 거제사업장 내 잠수함과 상선 건조 구역을 살펴보고, MRO 작업 중이던 미 해군 7함대 소속의 유콘함도 둘러봤다.

당시 김동관 부회장은 "한화오션은 미국 해군의 전략적 수요에 맞춰 어떤 상황에서도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건조 체계를 완비하고 있으며, 미국 내 여러 조선소를 확보하여 시너지를 극대화하고 북미 시장에서의 입지를 더욱 강화할 계획"이라며, 한·미 조선업 협력에서 '한화오션이 가장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임을 강조했다.

한화는 필리조선소 인수 후 설비투자와 일자리 창출, 한국식 공정관리 시스템 도입 등 전방위 개편을 추진 중이다. 연 1~1.5척에 불과한 조선 능력을 2035년까지 10척으로 확대하겠다는 계획이다.

필리조선소는 트럼프 행정부의 조선업 부흥 전략과 맞물려 미국 내 정계 및 해군 주요 인사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 '정책 현장'으로 부상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