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서비스와 개인서비스 요금 상승률 차이가 지역별 물가 차이를 갈랐다. 사진은 도시 번화가와 지역 전통시장[출처=EBN]](https://cdn.ebn.co.kr/news/photo/202508/1673239_689324_5414.jpg)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전국 평균 2.1%로 집계된 가운데, 부산·세종·경기·경남 지역은 2.2~2.3%대 상승률을 기록하며 상대적으로 높은 물가 상승세를 나타냈다. 반면 광주와 제주는 1.7%에 머물며 가장 낮은 상승률을 보였다.
5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5년 7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부산의 전년동월대비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은 2.3%로 전국 최고, 뒤이어 세종·경기·경남이 2.2%, 서울·인천·울산 등은 2.1%를 기록했다.
반면 광주와 제주는 1.7%로 가장 낮았고, 대전은 1.9%, 대구·전북·경북은 2.0% 수준에 머물렀다. 지역 간 상승률 격차는 최대 0.6%p까지 벌어진 셈이다.
지역별 물가 차이는 공공서비스 및 개인서비스 요금 상승률의 차이에서 비롯된 것으로 나타났다.
예를 들어 세종시는 공공서비스가 전년동월 대비 2.7% 상승, 강원·충북은 2.0%, 반면 울산은 0.4%, 광주는 0.6%에 불과했다. 이는 도시철도료, 대학등록금, 치과진료비 등 지역별 가격 조정 시점과 정책 차이가 반영된 결과다.
개인서비스 항목도 부산(3.6%), 충남(3.5%), 세종·충북(3.4%) 등은 전국 평균(3.1%)보다 높았고, 제주는 1.8%로 가장 낮아 체감 물가 차이를 키웠다.
특히 외식 제외 개인서비스(학원비, 이·미용료 등)는 충북 4.3%, 세종 4.4%, 부산·전남 3.6% 등으로 오름폭이 컸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전국 단일 기준으로 발표되지만 실질적으로는 각 지역의 생활비와 체감물가가 다르게 움직이고 있음이 확인됐다.
특히 신도시 지역이 많은 세종·경기, 도시화율이 높은 부산·경남 등은 서비스 소비가 활발하고 요금 인상도 빠르게 반영되는 구조다.
반면 광주·제주 등은 공공요금과 외식비 등에서 상대적으로 인상률이 낮아 물가 상승이 제한적으로 나타났다.
인구 구조, 소비 패턴, 지자체별 요금 책정 방식 등 복합 요인이 물가 차이를 유발하기 때문에 물가 지표를 단일 수치로 판단하기보다는 지역별 체감도와 정책 대응 여력을 함께 분석해야 한다는 해석이 나온다.
정부는 전체 물가 상승률이 안정적인 흐름을 보이고 있다는 입장이지만 지역별 생활비 격차가 실질 소득의 체감 차이를 심화시킬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따라서 공공서비스 요금 조정 시기의 분산, 지방정부와의 정책 연계, 그리고 지역 기반 생필품 공급망 안정화 등이 물가 관리의 새로운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한국개발연구원(KDI) 관계자는 "실제 지출이 이루어지는 영역은 지역 단위이기 때문에 물가정책의 지역화가 앞으로 더 중요해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