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이앤씨 사옥.[출처=포스코이앤씨]](https://cdn.ebn.co.kr/news/photo/202508/1673428_689545_1043.png)
잇따른 중대재해로 여론의 뭇매를 맞고 있는 포스코이앤씨가 이번엔 매각설(說)에 휩싸였다. 이재명 대통령이 포스코이앤씨에 대해 "건설면허 취소, 공공입찰 금지 등 법률상 가능한 방안을 모두 찾아 보고하라"는 지시를 내린 데 따른 여파로 보인다.
다만 사실 확인 결과 '포스코이앤씨 매각설'은 허위로 드러났다.
6일 오후 건설업계에서는 '포스코이앤씨 매각 시나리오'라는 제목의 내용이 급속히 퍼졌다.
해당 문건에는 △포스코그룹이 급히 리스크 관리에 나섰다 △포스코이앤씨 매각 시나리오 △모 대형건설사(중흥)와 PE(미래에셋)가 물밑 접촉에 나섰다 등 내용이 담겼다.
하지만 EBN이 관련 건설사들을 통해 사실 여부를 확인한 결과, 이는 전혀 근거 없는 허위였다.
내용에 직접 거론된 중흥 관계자도 "사실이 아니다"라고 일축했다. 포스코이앤씨 측도 "해당 내용은 전혀 알지 못하는 이야기"라고 선을 그었다.
이런 가운데 포스코이앤씨를 둘러싼 위기는 여전히 진행 중이다.
이날 이재명 대통령은 포스코이앤씨에서 중대재해 사고가 반복적으로 발생한 데 대해 강도 높은 대응을 지시했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에 따르면, 이 대통령은 "매뉴얼 준수 여부 등을 철저히 확인하고, 예방 가능한 사고는 아니었는지 면밀히 조사하라"는 지시를 내렸다.
아울러 "건설면허 취소, 공공입찰 금지 등 법률상 가능한 방안을 모두 찾아 보고하라"며 "산업재해가 반복되지 않도록 징벌적 손해배상제 등 추가 제재 방안도 검토하라"고 주문했다.
이 대통령은 지난달 29일 대통령실이 주재한 국무회의에서도 모두발언을 통해 반복적인 산업재해 사망사고가 발생한 포스코이앤씨를 강하게 질타한 바 있다. 당시 이 대통령은 "올해들어 포스코이앤씨라는 회사에서 5번째 산업재해 사망사고가 발생했다고 한다"며 "똑같은 방식으로 사망사고가 나는 것은 결국 죽음을 용인하는 것이고, 심하게 얘기하면 법률적 용어로 미필적 고의에 의한 살인"이라고 했다.
또 "살자고 간 직장이 전쟁터가 된 것인데 있을 수 있는 일인가"라며 "사람이 사업체를 위해 일을 하다 죽는 것에 대한 감각이 없는 건지, 사람 목숨을 작업 도구로 여기는 건 아닌지 하는 생각이 든다"고 비판했다.
한편, 정희민 포스코이앤씨 사장은 사과 이후에도 현장 작업자가 중상을 입고 의식불명에 빠지는 사고가 발생하자 지난 5일 사의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