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포스코이앤씨]
[출처=포스코이앤씨]

포스코이앤씨가 그야말로 사면초가(四面楚歌)의 위기에 몰렸다. 연이은 중대재해로 '산재 기업'이라는 낙인이 찍힌 데다, 이를 수습하기 위한 대표이사 교체 카드까지 꺼냈지만 뚜렷한 효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의 강도 높은 대응 지시에 이어 시장에선 매각설까지 고개를 들며 위기감은 한층 높아졌다. 

6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포스코이앤씨는 지난 5일 오후, 대표이사를 '주택통' 정희민에서 '안전통' 송치영으로 교체했다. 최근 잇따른 중대재해로 기업 신뢰도에 큰 타격을 입은 상황에서, 그룹 차원의 '안전 경영' 강화 의지를 내보인 인사로 풀이된다.

구체적으로 올해 상반기 동안 포스코이앤씨의 건설현장에서는 총 5건의 중대재해 사고가 발생했었다. 1월 김해 아파트 신축현장의 추락사고를 시작으로, 4월 광명 신안산선 건설현장 붕괴사고, 같은 달 대구 주상복합 현장 추락사고, 7월 의령 고속국도 공사 중 사망사고 등이 포함된다.

이에 포스코그룹은 지난달 31일 '안전관리 혁신 계획'을 발표하고, 전국 모든 현장에 공사 중지 조치를 내리는 등 현장 안전 관리에 중점을 뒀다. 

하지만 공사 재개 첫날인 이달 4일, 광명~서울고속도로 연장공사 현장에서 또다시 사고가 발생했고, 30대 이주노동자가 작업 중 크게 다쳐 의식불명 상태다. 결국 정희민 전 대표는 사고의 책임을 지고 취임 8개월 만에 물러났다.

포스코이앤씨의 안전 관리에도 불구하고 이처럼 사고가 계속되자, 대통령이 직접 나섰다. 

대통령실 강유정 대변인은 브리핑을 통해 "대통령은 포스코이앤씨의 사고와 관련해 매뉴얼 준수 여부를 철저히 확인하고, 예방 가능한 사고였는지 면밀히 조사하라고 지시했다"며 "건설면허 취소, 공공입찰 금지 등 법률상 가능한 모든 조치를 검토하라고 주문했다"고 전했다.

이런 가운데 이날 오후 '포스코이앤씨 매각 시나리오'라는 소문까지 업계 전반에 확산되며 혼란을 부추겼다.

해당 문건에는 △포스코그룹이 리스크 관리에 착수했다 △포스코이앤씨 매각 시나리오 △중흥건설과 미래에셋이 물밑 접촉에 나섰다 등의 내용이 담겼다.

그러나 EBN 취재 결과, 해당 문건은 사실무근으로 드러났다. 소문에 언급된 중흥건설 관계자는 "사실이 전혀 아니다"라고 일축했으며, 포스코이앤씨 역시 "전혀 알지 못하는 이야기"라며 선을 그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