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청소기 피해구제 신청이 전년 대비 90% 급증했다. [출처=롯데하이마트]
로봇청소기 피해구제 신청이 전년 대비 90% 급증했다. [출처=롯데하이마트]

가사 노동 부담을 줄이기 위해 로봇청소기 사용이 확산되고 있으나 제품 하자와 계약 관련 분쟁이 급격히 늘고 있어 소비자들의 주의가 요구된다.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최근 3년간(2022년~2025년 6월) 접수된 로봇청소기 피해구제 신청은 총 274건으로 매년 증가 추세다. 2024년에는 전년 대비 90.9% 급증했고 2025년 상반기에도 같은 기간 대비 97.4% 늘었다.

피해 유형별로는 '제품 하자'가 204건(74.5%)으로 ‘계약·거래 관련 피해’ 70건(25.5%)보다 약 3배 많았다.

하자 유형별 현황 표. [출처=소비자원]
하자 유형별 현황 표. [출처=소비자원]

하자 유형은 ▲공간·사물 인식 센서 불량(24.9%) ▲작동 불가·멈춤(17.8%) ▲부가기능 하자(17.2%) ▲소음 발생(11.8%) ▲누수(10.7%) 등이 대표적이었다. 특히 물걸레 청소 기능 탑재 기종에서 누수 피해가 빈번히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계약·거래 관련 피해 중에는 청약철회 거부·회피가 41.4%로 가장 많았고, 미배송(37.1%), 계약·광고와 상이(12.9%) 순이었다. 해외 구매대행 제품의 경우 과도한 반품 비용을 청구하거나, 포장박스 개봉만으로 반품을 거부하는 사례도 있었다.

연령대별로는 30대와 40대가 전체 피해의 67.9%를 차지했다. 이는 신기술 활용과 가사 효율성에 관심이 높은 연령층의 로봇청소기 사용 비중이 높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반면 60대 이상 피해 비율은 5.2%에 그쳤다.

한국소비자원은 로봇청소기 피해 예방을 위해 △가정 구조(문턱 높이, 단차 등)에 맞는 제품 사양 선택 △청소 전 장애물 제거 △센서 관리 △믿을만한 AS·환불 정책을 갖춘 사업자 선택 등을 권고했다.

또한 분쟁 발생 시 제품 상태와 사용환경을 사진·영상으로 기록하고, 전자상거래 청약철회 기한(수령일로부터 7일)을 준수해 증빙 자료를 확보할 것을 당부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