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금융투자협회]
[출처= 금융투자협회]

영구폐쇄형 인프라펀드의 회계 불확실성이 해소되면서 초장기 인프라 사업에 민간 자금 공급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금융투자협회와 자산운용업계는 최근 금융위원회의 ‘생산적 금융 확대를 위한 회계 애로사항 논의’ 발표에 적극적인 투자 확대 의지를 표명했다.

그간 금융회사가 인프라펀드를 통해 초장기 사업에 참여할 경우, 매년 평가손익이 당기손익(FV-PL)에 반영될 수 있다는 우려가 있었다. 이로 인해 자본 활용에 제약이 생겨 인프라펀드 시장은 급격히 위축됐다. 실제로 인프라펀드 규모는 2020년 2.1조원에서 2024년 0.6조원으로 줄었으며, 특히 보험사의 경우 올해 신규 투자가 전무했다.

이에 금융투자협회는 회계기준원에 공식 질의를 요청했고, 기준원은 만기가 없는 폐쇄형 펀드는 FV-OCI(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로 처리할 수 있다는 해석을 내놓았다. 이로써 영구폐쇄형 펀드를 활용한 인프라 사업 투자가 가능해지면서, 민간 자금의 유입이 기대된다.

정부도 속도를 낸다. 기획재정부는 올해 18.5조원+α 규모의 신규 인프라 사업을 발굴할 계획이며, 민간투자사업심의위원회(민투심)를 통과한 사업이 영구폐쇄형 펀드를 통해 자금 조달 문제가 해소될 경우 사업 집행 속도도 빨라질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새 정부의 미래 전략형 사업으로 △인공지능 등 성장 산업 경쟁력 강화 △탄소중립 및 기후위기 대응 △지역소멸 방지와 균형발전 등 새로운 유형의 민간투자 프로젝트에도 금융회사의 참여가 가능해질 전망이다.

자산운용업계는 인프라사업에 금융회사 등 기관투자자가 투자할 수 있는 영구폐쇄형 펀드를 조성해 높은 투자위험을 감내해야하는 후순위 대출, 지분 출자 등에 자금을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할 예정이다.

또 기재부에서 민간투자 활성화를 위해 추진 중인 출자전용인프라펀드 및 신용보증 확대 정책과 시너지 효과를 통해 인프사 사업에 참여할 기회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창화 금융투자협회 자산운용·부동산본부장(전무)은 “관계당국의 지원으로 장기 인프라 사업에 투자할 수 있는 상품 출시가 가능해졌다”며 “협회는 금융당국과 협의해 업계의 펀드규약 마련을 지원하고, 영구폐쇄형 펀드가 민간투자 활성화에 기여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