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연합]
[출처=연합]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인텔에 이어 삼성전자의 지분 인수까지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19일 로이터통신은 소식통을 인용해 하워드 루트닉 미국 상무장관이 칩스법 보조금을 받는 기업들의 지분을 연방 정부가 직접 확보하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앞서 백악관은 인텔 지분 10% 인수를 추진 중이라고 공식 확인한 바 있다.

삼성전자는 미국 텍사스 테일러에 반도체 공장을 짓고 있으며, 미국 정부로부터 총 47억5000만 달러의 칩스법 보조금을 받기로 했다. 다만 지급액의 상당 부분은 아직 집행되지 않았다. 이외에도 마이크론은 62억 달러, 대만 TSMC는 66억 달러 보조금을 확정받았다.

바이든 행정부는 기업에 조건 없이 지원금을 제공했지만, 트럼프 행정부는 같은 지원을 하되 그만큼의 주식을 취득하는 방식을 택하겠다는 것이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인텔 지분 인수 추진 사실을 확인하며 "대통령은 국가 안보와 경제적 이익을 최우선에 두고 있다"며 "이전에는 없던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민간 기업 지분을 미국 정부가 직접 확보하는 것은 극히 이례적이다. 반도체 산업에서 미국의 영향력을 확대하려는 전략으로 해석되지만, 기업 입장에서는 무상 보조금이 사실상 주식 강제 취득으로 바뀌는 셈이라 논란이 예상된다.

특히 경영난에 처한 인텔과 달리 삼성전자는 안정적 재무구조를 갖추고 있어 외부 정부 자금이 굳이 필요하지 않은 상황이다. 따라서 지분 인수가 현실화될 경우 경영권 간섭 문제가 불거질 수 있다.

이 작업은 루트닉 상무장관이 주도하고 있으며, 상무부는 총 527억 달러 규모 칩스법 기금을 운용 중이다. 일각에서는 이번 방안은 글로벌 반도체 생태계에 파급 효과를 낳을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