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https://cdn.ebn.co.kr/news/photo/202508/1676094_692655_1157.jpg)
SPC그룹이 연이은 공장 사망사고 후속 대책으로 계열사별 생산직 근무제도를 개편해 오는 9월1일부터 시범 운영에 들어간다. 이는 당초 10월 시행 계획에서 한 달 앞당긴 조치다.
27일 SPC그룹은 전 계열사 생산 현장에서 야간 8시간 초과 근무를 없애고 SPC삼립과 샤니 공장에는 3조3교대를 도입한다고 밝혔다. SPL과 비알코리아는 야간 근무 축소로 생긴 공백 시간대를 보완하기 위해 중간조를 운영한다.
이에 따라 SPC삼립 시화공장 베이커리 라인 근무자는 3교대 방식으로 주 6일 일하게 되며 주당 근로시간은 기존 52시간에서 48시간 이하로 줄어든다. SPL은 기존 주간조와 야간조 사이에 중간조를 도입하고 일부 라인에는 주 6일제를 적용해 야간 근로 시간을 줄인다.
근무제 개편에 따라 SPC그룹은 약 250명을 추가 고용한다. 이는 전체 직원 2만2000여 명 가운데 생산직 6500여 명의 4%에 해당하는 규모다.
근무시간 축소에 따른 임금 감소 우려와 관련해 SPC는 각 사별로 보완책을 마련했다. SPC삼립은 기본급 인상과 함께 휴일수당 가산율을 기존 50%에서 75%로 상향했고 SPL은 야간수당 가산율을 50%에서 79%로 높이며 특별수당도 지급한다.
파리크라상, 샤니, 비알코리아 등 다른 계열사 역시 환경에 맞는 임금 보전 방안을 마련해 노사가 잠정 합의했다.
SPC는 이번 개편으로 인한 추가 고용과 임금 보전을 위해 연간 약 330억 원의 비용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했다. 이는 지난해 SPC그룹 전체 영업이익(768억 원)의 43%에 해당하는 수준이다.
SPC는 9월 한 달 동안 새로운 근무제도를 시범 운영하며 시스템을 점검하고 현장 의견을 반영할 계획이다. 이후 10월 1일부터 전사 차원에서 본격적으로 시행한다. 그룹 관계자는 "인력 충원 등을 통해 내년 중 주 5일 근무 체제로 전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또한 "근로자의 안전 강화라는 대승적인 목표를 위해 각 사 교섭대표 노동조합과 협력했다"며 "근무제 개편과 함께 작업중지권 강화, 안전 스마트 신공장 건립도 조속히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번 조치는 반복된 공장 사망사고와 대통령의 문제 제기 이후 마련됐다. 지난 5월 SPC삼립 시화공장에서 50대 여성 노동자가 기계에 끼여 숨졌으며 2022년 10월 SPL 평택공장, 2023년 8월 샤니 성남공장에서도 끼임 사고로 노동자가 사망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달 25일 시화공장 현장 간담회에서 "일주일에 나흘을 밤 7시부터 새벽 7시까지 12시간씩 일한다는 것이 가능한 일인지 의문"이라며 장시간 근로 체제를 비판했다.
이에 SPC는 이틀 뒤 야간 근로 8시간 제한과 근무제 개편을 발표하고 노조와 협의해 제도 안착을 추진해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