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연합]](https://cdn.ebn.co.kr/news/photo/202508/1676555_693194_1437.png)
다음 주(9월 1∼5일)는 한국 경제의 흐름과 가계·기업의 재정 환경을 가늠할 수 있는 굵직한 지표들이 잇따라 발표된다. 24년 만에 예금보호 한도가 현행 5천만 원에서 1억 원으로 상향 조정되는 제도 변화도 시작된다.
통계청은 2일 ‘8월 소비자물가 동향’을 발표한다. 물가 상승률은 2% 안팎에서 안정세를 보이고 있지만, 폭염·폭우 여파로 농산물 가격 불안이 여전하다. 특히 과일·채소는 이상기후로 공급이 줄고 수요가 급증하면서 특정 품목 가격이 급등락을 반복할 가능성이 지적된다.
3일에는 국가 재정의 장기 전망이 공개된다. 2025~2065년을 대상으로 한 이번 장기재정 전망은 2020년에 이어 세 번째다. 이재명 정부가 확장재정을 공식화한 가운데 세수 여건은 빠듯해 재정건전성 우려가 큰 상황에서, 중장기 재정 위험을 점검할 중요한 지표가 될 전망이다. 같은 날 통계청은 ‘지난 30년간 혼인·출생 현황’도 내놓아 인구 위기 현황을 다시 진단한다.
한국은행은 3일 ‘2분기 국민소득(잠정)’을 발표한다. 앞서 공개된 속보치에서는 2분기 실질 GDP가 전분기 대비 0.6% 성장하며 1분기 역성장에서 벗어났다. 민간소비와 수출이 회복세를 이끌었지만 건설·설비투자가 동반 위축된 만큼, 잠정치에서 수정폭이 있을지 주목된다.
금융권 제도 변화도 눈길을 끈다. 1일부터 예금보호 한도가 1억 원으로 확대된다. 예금보험공사가 관리하는 은행·저축은행·보험·금융투자사뿐 아니라 상호금융조합·금고 예금도 동일하게 보호 대상에 포함된다. 예·적금 등 원금보장 상품은 가입 시점과 관계없이 원금과 이자를 합해 1억 원까지 보호된다.
금융위원회는 4일 소상공인 금융지원 방안을 내놓는다. 성실 상환자에 대한 신규 자금지원과 금융비용 절감 방안이 포함될 예정이다.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은 업권별 현장 간담회를 이어가며 금융사에 소비자 보호 강화 메시지를 던질 계획이다.
물가 불안, 재정건전성, 투자 부진, 금융시장 제도 변화가 동시에 겹치는 한 주가 시작되면서, 시장의 이목은 정책 대응 방향과 경기 흐름에 쏠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