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도쿄 신주쿠 거리 풍경 [출처=연합뉴스]](https://cdn.ebn.co.kr/news/photo/202509/1676646_693303_217.jpg)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 강화가 일본 기업들의 투자 결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일본의 자본 지출은 5분기 연속 증가세를 기록했지만, 성장세는 급격히 둔화되며 관세 마찰이 민간 투자와 수익성에 미친 압박이 가시화되고 있다.
일본 재무성이 1일 발표한 바에 따르면, 6월까지 3개월간 일본 기업들의 소프트웨어를 제외한 자본 지출은 전분기 대비 0.2% 증가하는 데 그쳤다. 이는 일본 내 국내총생산(GDP) 예비치에서 보고된 기업 투자 증가율 1.3%와 큰 차이를 보이는 수치다. 이번 통계는 오는 9월 8일 발표 예정인 2분기 GDP 수정치에 반영된다.
전년 동기 대비로는 지표가 다소 긍정적이다. 소프트웨어를 포함한 전체 자본 지출은 7.6% 증가해 시장 예상치였던 6.1%를 상회했다. 이익은 0.2%, 매출은 0.8% 증가했다. 그러나 이러한 수치는 기업들이 향후 투자에 신중하게 접근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신호로 해석된다.
전문가들은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압박이 기업들의 장기 투자 계획에 불확실성을 안겨주고 있다고 분석한다. 특히 2분기에는 미국 정부가 일본산 자동차에 25%의 추가 관세를 예고하고, 자동차 외 여러 품목에도 전방위적 25% 관세 부과를 위협하면서 긴장감이 높아졌다. 7월에는 양국이 일부 품목에 대해 15%로 상한선을 조정하는 데 합의했지만, 이행은 아직 완전하지 않다.
일본은 현재까지 5분기 연속 경제성장을 이어가고 있지만, 이번 자본 지출 지표는 그 지속 가능성에 물음표를 던진다. 특히 수출 의존도가 높은 제조업체들 사이에서는 관세 부담이 수익성을 훼손하고, 이로 인해 임금 인상 여력까지 줄어들고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7월 일본의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4년 만에 최대폭으로 감소하며, 3개월 연속 하락세를 기록했다. 일부 기업들은 관세 비용을 제품 가격에 전가하지 못한 채 이익률을 포기하면서도 해외 시장 점유율을 유지하는 전략을 선택하고 있다. 이는 단기적으로는 경쟁력 방어에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수익 기반을 잠식할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또한 일본 내에서는 약 5500억달러 규모의 미·일 투자 프레임워크로 인해 일본 기업들이 미국 내 투자 확대에 집중하고, 결과적으로 국내 사업이 소외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 해외 투자 확대가 국내 고용과 내수 회복에 미치는 부정적 파장을 경계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는 분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