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대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이 3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개최한 미국 관세대응 정책금융-금융지주 간담회에서 금융감독원, 한국산업은행, 중소기업은행, 한국수출입은행, 신용보증기금, 기술보증기금, 한국자산관리공사 부기관장 및 5대 금융지주 CSO 등과 미국 정부의 상호관세, 품목과세 부과에 따른 우리 기업의 피해를 최소화할 금융업계의 대응방안을 논의했다. [출처=금융위원회]](https://cdn.ebn.co.kr/news/photo/202509/1676998_693710_17.jpg)
관세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5대 금융지주가 내년까지 총 95조원을 지원한다. 정책금융기관은 172조1000억원을 지원한다.
3일 금융위원회는 미국 정부의 상호관세, 품목관세 부과에 따른 우리 기업의 피해를 최소화할 금융업계의 대응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미국 관세대응 정책금융-금융지주 간담회'를 열고 이 같이 밝혔다.
정부가 2026년까지 총 172조원을 지원하는 가운데 금융지주들은 연초부터 8월 말까지 약 45조원을 공급했다. 5대 금융지주의 금융지원 상품은 금리부담 경감, 수출·공급망 지원, 혁신성장 지원, 대기업 상생 대출 등으로 구성돼 있다.
지원 분야는 경영애로 해소(36.3조원), 수출다변화(33.3조원), 산업 경쟁력 강화(91.5조원), 사업재편 기업 지원(11조원) 등 4대 분야다.
이번 간담회는 권대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의 주재로 금융감독원, 한국산업은행, 중소기업은행, 한국수출입은행, 신용보증기금, 기술보증기금, 한국자산관리공사 부기관장 및 5대 금융지주 CSO 등이 참석했다.
미국 관세협상 결과 고율 관세(25%)를 피하고 경쟁국 대비 동등·유리한 여건이 조성돼 수출 시장 불확실성은 다소 해소됐지만 여전히 15% 관세부담, 철강·알루미늄(50%) 407개 품목 관세 부과대상 추가 등에 따른 기업들의 부담은 지속되고 있다.
주요 상품으로는 관세피해 중소·중견기업에 긴급 경영자금을 지원하는 한국산업은행과 한국수출입은행의 '위기대응지원 특별프로그램'이 있다.
한국산업은행은 지원대상을 관세 피해기업에서 수출 다변화 기업까지 확대하고, 지원 한도도 10배 증액(중견 50억→500억, 중소 30억 → 300억)할 계획이다. 산은이 제시할 수 있는 금리도 0.2%p 인하에서 0.5%p 인하로 추가 인하할 계획이다
한국수출입은행도 지원대상을 신용등급 열위 기업에서 전체 중소기업으로 확대·개편하고 최대 2.0%p의 우대금리를 제공할 예정이다.
신용보증기금과 기술보증기금은 관세피해 등 대내외 환경변화로 인해 어려움을 겪는 중소·중견기업 대상 '위기대응 특례보증' 프로그램을 신속하게 집행하기 위해 평가 절차 및 제출서류 등을 간소화한다.
중소기업은행은 전국 640여개 지점을 통해 '금융애로 상담창구'를 운영해 미국 관세정책 피해가 예상되는 기업들에 상담을 제공하고, 어려움을 겪는 기업에 대체 수출시장 발굴, 원가 절감을 위한 수익성 분석 등 컨설팅을 지속 실시할 계획이다.
금융위와 한국자산관리공사는 수출 기반 주력 산업의 사업재편 및 재무 건전성 개선을 지원하기 위해 1조원 규모의 기업구조혁신펀드 6호 조성도 추진한다.
펀드 지원 대상은 석유화학, 철강, 자동차, 반도체, 이차전지, 디스플레이 산업의 구조조정 대상 기업이다.
권 부위원장은 "5대 정책금융은 1차 추경을 통해 약 21조6000억원의 지원 역량을 확충하는 등 8월말까지 약 63조원을 지원했다"며 "5대 금융지주도 자체적으로 수출기업 유동성 지원과 금융비용 감면 등에 8월말까지 약 45조원을 지원하고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