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찬진 금융감독원장. [출처=연합 ]](https://cdn.ebn.co.kr/news/photo/202509/1677878_694718_3420.jpg)
금융감독원이 금융소비자 보호 강화를 위해 전 금융권 CEO를 한자리에 불러 모범관행을 제시했다. 불완전판매·금융사고로 드러난 거버넌스 한계를 극복하고, 소비자 신뢰 회복을 최우선 과제로 삼겠다는 의지다.
금감원장이 취임 직후 금융업권별 간담회와 별도로 금융소비자보호를 주제로 전 업권 대상 간담회를 개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금감원은 9일 서울 여의도 본원에서 이찬진 원장 주재로 19개 주요 금융회사 대표들과 ‘금융소비자보호 거버넌스 간담회’를 열었다. 은행·보험·증권·저축은행 등 업권별 최고경영자들이 참석해 소비자 보호 중심의 경영관행 정착과 제도 개선 방안을 논의했다.
이 원장은 "금융소비자보호 강화는 금융권의 가장 시급한 과제로, 새 정부와 금감원도 이를 핵심과제로 추진 중"이라며 "'홍콩 ELS 사태'는 금융회사의 내부통제 실패뿐만 아니라 거버넌스의 근본적 한계를 보여줬다"고 말했다.
그는 "소비자보호에 취약한 지배구조로 인해 성과보상체계(KPI)가 소비자의 이익보다 단기 영업실적 중심으로 설계됐고 불완전판매 등이 계속됐다"며 "최근 카드 및 보험사 등 금융권에서 발생한 보안사고는 그간의 허술한 보안체계와 내부통제의 취약점을 여실히 드러낸 사건"이라고 꼬집었다.
이날 금감원이 발표한 ‘금융소비자보호 거버넌스 모범관행’에는 ▲소비자보호 내부통제위원회 실질적 운영 ▲CCO(소비자보호최고책임자)의 독립성과 전문성 보장 ▲소비자보호 중심 KPI 설계·평가 ▲지주회사의 자회사 관리 강화 등이 담겼다.
업계 CEO들도 공감대를 나타냈다. 한 참석자는 “소비자 신뢰가 무너지면 금융회사의 지속 성장은 불가능하다”며 “조직 문화 차원에서 소비자보호를 우선하는 인프라를 확충하겠다”고 말했다.
다만 인력·전문성 보강에 대한 제도적 지원과 우수 회사에 대한 인센티브도 필요하다는 건의가 나왔다.
금감원은 금융소비자보호법 개정과 감독규정 보완을 통해 제도적 기반을 강화할 방침이다. 특히 소비자보호 실태평가에서 거버넌스 항목의 가중치를 높이고, 현장 평가를 통해 내부통제 내실화를 적극 지도하기로 했다.
이 원장은 “금감원이 업계와 긴밀히 소통하며 건전한 소비자보호 거버넌스를 정착시켜 소비자가 체감하는 실질적 보호를 달성하겠다”고 말했다.